Speakers

Home Speakers
AI 데이터 센터, 반도체 산단, 전기차 등 급증하는 전력 수요와 이에 대응하는 전기 전자 기술

임춘택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2023.01.~ 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
2021.09.~2022.12. 제13대 에너지경제연구원 원장
2018.06.~2021.07. 제4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장
2016.10.~2018.06. 광주과학기술원 융합기술원 교수
2003.05.~2007.02. 청와대 행정관
AI 반도체 설계 현황 및 발전 방향

클라우드 서버용 AI 반도체는 칩의 스케일이 커지는 한편, 다양한 산업 수요에 맞춘 경량화 모델과 전용 칩 개발의 방향으로 개발 진행 중에 있다. 한편에서는 HBM-PIM 및 뉴로모픽 칩과 같은 낮은 전력과 빠른 연산을 지원하는 AI반도체도 등장하고 있어, 최근 관련 동향과 방향성을 살펴본다.

황태호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본부장

반도체디스플레이본부, 본부장(2022.9월~)
국가첨단전략산업 전문위원회, 반도체위원
IEC/ISO JTC3 양자산업기술 표준화 위원
track1
국내외 전력반도체 기술 개발 동향 및 시장 현황

전력반도체 시장 동향 및 전망에 대해 발표합니다.

한국전기연구원 김형우 센터장

차세대반도체연구센터장
온디바이스 AI 기술 트렌드 및 미래 전망

클라우드 서버용 AI 반도체는 칩의 스케일이 커지는 한편, 다양한 산업 수요에 맞춘 경량화 모델과 전용 칩 개발의 방향으로 개발 진행 중에 있다. 한편에서는 HBM-PIM 및 뉴로모픽 칩과 같은 낮은 전력과 빠른 연산을 지원하는 AI반도체도 등장하고 있어, 최근 관련 동향과 방향성을 살펴본다.

Infineon 김용진 상무

인피니언코리아 기술지원
track2
온디바이스 AI 기술 트렌드 및 미래 전망

온디바이스 AI 기술 트렌드 및 미래 전망에 대해 발표합니다.

김경기 대구대 교수

반도체공학회 부회장
IEEE BoG 이사
대구대학교 교수
Sun Microsystems
온디바이스 AI를 위한 하드웨어 인지 AI 모델 최적화 솔루션 및 성공 사례

온디바이스 AI는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전송하지 않고, 기기 자체에서 AI 모델을 실행하여 실시간 응답성과 개인정보 보호를 동시에 제공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온디바이스 AI의 주요 트렌드와 함께, 이러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인공지능 모델 최적화 기법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합니다.

조석영 노타AI 매니저

온디바이스 AI 진입 장벽을 허무는 개발 솔루션

온디바이스 AI 개발, 막대한 비용과 복잡한 환경 구축이 먼저 떠오르시나요? 고가의 솔루션, 어려운 설정, 긴 환경 셋업 시간은 더 이상 필수가 아닙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개발 환경 구축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강력한 성능과 작은 코드 사이즈를 모두 갖춘 온디바이스 AI 솔루션을 소개합니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AI 모델을 손쉽게 설계하고, 고성능 컴파일러를 활용해 리소스 제약 환경에서도 빠르게 실행되는 코드를 만들어내는 전체 개발 흐름을 소개합니다. 복잡하지 않지만 강력한, 새로운 온디바이스 AI 개발의 길을 제시합니다.

MDS테크 박태준 대리

2023 ~ MDS Tech T32, Arm기술지원
Physical AI시대, 온디바이스 AI 기술과 전략

온디바이스 AI는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전송하지 않고, 기기 자체에서 AI 모델을 실행하여 실시간 응답성과 개인정보 보호를 동시에 제공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온디바이스 AI의 주요 트렌드와 함께, 이러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인공지능 모델 최적화 기법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합니다.

최홍섭 마음AI 대표이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마인즈랩 대표
맨드언맨드 대표이사
저서 'AI혁명의 미래'
(주)마음에이아이 기술총괄 대표
track3
SDV 중심의 차량 개발 환경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솔루션

자동차 전장 아키텍처의 통합화로 인해 HW와 SW의 개발, 관리, 유지보수 등 개발환경의 패러다임 변화도 요구받고 있습니다. 검증되고 유연하며 빠른 개발주기로 SDV 목표를 성공시킬 수 있도록 QNX 가 함께할 것입니다.

QNX 류민희 차장

Field Application Engineer
차량용 고속 데이터 통신 기술 및 전력 시스템 설계를 위한 검증

차세대 오토모티브 시스템은 ADAS, 인포테인먼트을 위한 고속 통신 적용 및 전기차를 위한 안정적 전력 시스템 설계가 필수입니다. 본 세션은 Tektronix 솔루션으로 Automotive Ethernet, SerDes 등 고속 인터페이스와 차량용 전력 관리 과제를 실제 사례로 분석, 엔지니어 분들에게 차량용 통합 측정 및 검증 전략과 실질적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박영준 텍트로닉스 상무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LG전자 정보통신 수석 엔지니어 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