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mage

차세대 위성통신 ‘빔호핑’으로 400Mbps 통신속도 구현

ETRI, 사용자 요구 맞춰 위성신호 보내는 모뎀 개발 비디오 셋톱박스 크기의 송수신부로 구성 통신 데이터 용량·전송속도, 기존 대비 15%·20%↑ 국내 연구진이 위성신호를 필요한 곳에 능동적으로 보내는 기술개발에 성공함에 ..

2019.12.04by 최인영 기자

image

ITU 빅데이터 유통 국제표준, ETRI 제안안 최종 승인

ETRI 제안 ‘빅데이터 카탈로그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구사항 및 개념모델’ ITU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 ITU Popov에서 빅데이터의 유통을 활성화할 국제표준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승인됐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ITU P..

2019.11.17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 한국어 AI 기술 '엑소브레인' 개발하고 상용화

ETRI, 한국어 AI 기술 엑소브레인 상용화 심층질의응답기술 개발 성공 및 범용성 확보 한컴오피스 2020, 법률질의 서비스에 적용     국내 연구진이 한국어 AI 기술을 상용화 하는데 성공했다. ▲ETRI, 엑소브레인 상용화 (사진..

2019.11.07by 이수민 기자

image

과기정통부, 영국과 5G 기반 AR/MR 서비스 공동연구

韓 과기정통부와 英 디지털문화부 5G 기반 실감 콘텐츠 서비스 공동개발 대전에서 과제착수 워크숍 6일 개최 한국과 영국이 지하철 안에서 5G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AR/MR 콘텐츠 개발에 나선다. ▲韓英, 고속열차 환경 5G 및 미디어 서비스 공동연구 ..

2019.11.05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이통3사, 양자암호 전송시스템 국제표준화 추진

ETRI·이통3사, 양자암호 전송시스템 표준 나서 SDN/NFV 포럼과 양자암호통신 상용화 채비 국내 상용 양자암호 전송시스템 표준 기술 연구가 보다 강화된다. ▲양자암호 전송시스템 국제표준화 회의를 진행하는 윤빈영 박사 (사진=ETRI)..

2019.10.31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 클라우드 저장공간 통합하는 CiS 기술 개발

| ITU 국제표준 선정, 개별 저장 데이터 통합관리 | 무제한 용량, 데이터 암호화로 어디서든 접근 | 국내외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술 발전 활용 기대 ETRI가 자체 저장 공간과 외부 클라우드 저장 공간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IDC의..

2019.09.27by 이수민 기자

image

ETRI, 딥 러닝 분산 학습 최적화 고속처리 기술 개발

| 같은 환경 속 통신량 줄여 AI 학습 속도↑ | 초보 개발자도 쉽게 AI 모델 생성 가능 | 국내 개발자용 딥 러닝 대시보드 개발 딥 러닝은 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컴퓨터 역시 대규모 영상, 이미지, 음성..

2019.09.10by 이수민 기자

image

한국 제시한 ITU-T 보안 표준 4건 사전 채택돼

| ETRI, 현대차, 카카오, SKT 등 제시한, ▲V2X 통신 환경 보안 가이드라인 ▲커넥티드 카 보안 위협 정의 ▲양자 잡음 난수생성기 구조 ▲스마트 미터링 서비스 보안 가이드라인 등 4건 국제표준 사전 채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정보보안을 책임질 국제표준을..

2019.09.09by 이수민 기자

image

"소리로 범인 잡는다" ETRI, 스마트 음장센서 개발

| 시큐웍스와 음장변화 기반 안전센서 출시 | 무단침입·화재상황 사각지대 없이 360도 감지 | AI 스피커 등에 서비스 응용, 센서 국산화에 기여 국내 연구진이 소리를 이용해 침입이나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한국..

2019.09.07by 이수민 기자

image

​5G보안협의회 발족, 5G 보안이슈 점검 및 논의

| 5G보안기술자문협의회 확대개편 | KISA, ETRI, TTA에서 50여 명 참여 | 5G 보안 국제 표준화 동향 등 논의 5G 확산에 따른 보안이슈 점검 및 논의의 장이 마련됐다. ​과기정통부, 5G보안협의회 발족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G의 본..

2019.08.20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