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17by 강정규 기자
ST마이크로는 고전압 고출력 장비 설계에서 지능형 전력모듈(IPM)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산켄전기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현재 650V/50A, 1200V/10A 산업용 모듈을 개발하고 있으며, 엔지니어링 샘플을 내년 3월에 공급할 예정이다.
초소형 전자제품의 착용성과 통합성이 높아지며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야 하는 설계자의 어려움도 높아지고 있다. 기기의 기능을 높이고 크기를 줄이려면 고전력 설계를 소형으로 구현해야 한다. 이에 맥심 인터그레이티드가 고밀도의 MAX77655 SIMO PMIC를 출시했다.
2020.11.06by 김동우 기자
정전기는 대지와 절연된 물체 등에 마찰, 박리 등에 의하여 전하가 충전되는 현상이다. 순간 전류는 수 A에 달하지만, 실제로 전기가 흐르는 건 매우 짧은 시간이므로 정전기로 상처를 입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하지만 정전기로 전자 부품, 반도체, 제품은 쉽게 손상을 입고 더 나아가 화학 물질의 경우 폭발로 이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회로설계자뿐만 아니라 공장/설비 관리자까지 정전기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있어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해 제품의 손상을 막고 폭발로 인한 재해를 막을 수 있다.
2020.10.30by 이수민 기자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 등의 모바일 기기의 DC 전원 라인 출력을 안정화하는 LDO 레귤레이터 32종이 새로 출시된다. 도시바는 30일, TCR3RM 시리즈를 출시하고 출하에 들어갔다 밝혔다.
2020.10.30by 강정규 기자
고속 응답 장치는 라인 조절 시 0.005%, 부하 시 0.01% 이상 전압 조절이 가능하며 최대 5대의 장치를 마스터 슬레이브 구성으로 병렬로 연결하여 50kW까지 생산할 수 있다. BQ 시리즈의 입력은 208Vac 3상 표준으로 제공되지만, 200Vac, 380Vac, 415Vac 및 480Vac 옵션도 이용할 수 있다. 효율은 일반적으로 최대 부하에서 80% 이상이며, 리플은 일반적으로 정격 출력 전압의 0.05% RMS 미만이다.
2020.10.29by 이수민 기자
코로나19로 전 산업의 디지털화가 가속하고 있다. 디지털화는 많은 에너지를 요구하는데, 에너지 생산 및 소모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탄소 중립화, 넷제로 공급망 구현 등을 2050년까지 실현할 것이라 밝혔다.
2020.10.27by 이수민 기자
최근 차량에는 다양한 역할을 하는 수많은 전자부품이 탑재된다. 차량용 애플리케이션 제조사는 자사의 제품이 자동차 안이라는 전력과 공간이 한정적인 곳에서 타 제품에 영향을 주거나 혹은 받지 않으면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시스템 기반 칩(SBC)은 전원, 통신, 관리 등의 역할을 하는 각각의 IC들을 하나의 IC로 통합하여 구현한 것으로 이를 활용하면 PCB 크기를 줄일 수 있다.
2020.10.21by 강정규 기자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의 SMPS 디자인에 더 높은 버스 전압과 고효율, 고전력 밀도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650V 항복 전압의 전력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이에 인피니언이 소프트 스위칭 애플리케이션의 공진 토폴로지에 적합한 650V CoolMOS CFD7 제품군을 출시했다.
2020.10.22by 강정규 기자
정밀 데이터 수집 신호 체인 설계는 고속 ADC 구동 및 안티 앨리어스 필터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수동 소자의 공차, 위상 및 이득 오류 밸런싱이 필요하여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에 ADI가 정밀 DC-350kHz 애플리케이션의 프런트엔드 설계를 간소화하고 제품 출시를 앞당기는 AD7134 앨리어스-프리 ADC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2020.10.22by 이수민 기자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자동 부하 전환 개폐기(ALTS)로 아스코 7000 시리즈를 출시했다. 아스코 7000 ALTS를 도입하면 운영자는 언제든지 수동으로 절체 버튼을 조작해 양 전원 사이에서 무정전으로 절체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수용가 전체 전력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