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31by 성유창 기자
김윤수 광주과학기술원 에너지융합대학원 교수가 전력계통과 에너지 가격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며 전력 수요를 조절, 관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2023.02.16by 권신혁 기자
첨단산업 발전이 가속화되며 전세계적으로 기술인재 구인난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각 산업계에서 자체적인 인재양성에 사활을 걸고 있는 가운데 국내 전파이용 분야에서도 상호 협력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2023.02.08by 성유창 기자
인피니언은 XENSIV™ MEMS 마이크로폰 제품 포트폴리오에 새로운 초저전력 디지털 마이크로폰 IM69D128S를 추가한다고 7일 밝혔다.
2023.01.31by 권신혁 기자
[편집자주] 2023년의 시작은 기후위기와 세계 정세 혼돈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 급등이 산업계와 민생을 뒤흔들고 있는 상황이다. 국가 생존을 위한 경쟁력이 기술력에 달려 있는 가운데 위기 극복의 단초가 될 엄중한 시기, 국내 전력전자 분야 기술 과학의 산실인 전력전자학회 2023년 신임회장으로 취임한 김학원 회장을 만나 이야기를 나눠봤다.
2023.01.18by 권신혁 기자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이 심화되고 있다. 대규모 전력 소비 시설인 데이터센터 밀집으로 인해 전력 공급 부담과 계통 인프라 혼잡이 우려되는 가운데 이를 사전에 막기 위해 정부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2023.01.16by 권신혁 기자
데이터 쓰나미가 한국을 집어삼키고 있다. 비대면 서비스와 콘텐츠 산업의 발달 그리고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 IT기술 제품의 확산으로 데이터 수요가 폭증하며 데이터센터 구축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3.01.11by 성유창 기자
키사이트는 광전지(PV) 세그먼트의 동작을 에뮬레이션하는 새로운 MP4300A 시리즈 모듈식 태양광 어레이 시뮬레이터(이하 SAS)를 출시했다고 11일 발표했다.
2022.12.01by 권신혁 기자
[편집자주]무선(Wireless)의 세상은 통신기술을 중심으로 발달하며 IoT, 스마트폰, 커넥티드카 등 다양한 산업 부문에 영향을 미치며 혁신을 촉진시켰다. 이윽고 무선은 ‘전력전송’이란 또 하나의 영역을 개척하며 스마트폰뿐 아니라 모빌리티, 위성 등 적용범위를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무선충전과 전자파 관련 규제 혁신이 이뤄지며 2023년을 기점으로 무선전력전송이 화두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에 무선전력전송 제품을 개발하는 업체 및 기관들이 한데 모인 소규모 전시에서 관련 솔루션을 탐구해봤다.
2022.11.28by 권신혁 기자
내년도 전력전자학회를 이끌 회장으로 선임된 김학원 한국교통대 교수가 전력전자분야에서 산업계와 대학의 협력관계 강화를 통해 연구개발 및 인력수급 지원 등을 지원하겠다고 비전을 밝혔다.
2022.10.12by 권신혁 기자
온세미가 오는 27일부터 2주간 전원 공급 장치 설계 분야 엔지니어들을 위해 파워 웨비나(Power Webinar)를 개최한다. 이번 웨비나는 엔지니어들의 전원 공급 장치 설계에 대한 이해를 향상하고 에너지 효율성과 시스템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알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