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16by 권신혁 기자
실리콘 카바이드(SiC)는 전기 자동차(EV), EV 충전 및 에너지 인프라에서 효율성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반도체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탈탄소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전체 SiC 시장은 연평균 33%의 성장률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반도체 기업들이 SiC 생산능력 확충에 집중하고 있다.
2022.07.21by 배종인 기자
산학연관이 우리나라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을 위해 340조를 투자하는 등 민관의 모든 역량을 결집한다.
2022.07.12by 권신혁 기자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지며 얼어붙는 가전 및 모바일 수요가 하반기 반도체 전망에 먹구름을 드리고 있다는 의견이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2022.06.23by 권신혁 기자
[편집자주]모터제어 기술은 △스마트팩토리 △전기차 △드론 △로보틱스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쓰이는 필수 기술 가운데 하나이다. 이처럼 산업현장과 제품 개발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이미 개발된 자료와 내용을 답습해 개발하고 있어 문제 발생 시 해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e4ds에서 주최하는 산업용 모터제어 기술 컨퍼런스는 모터 제어를 위한 핵심 이론과 매틀랩, 시뮬링크 등 현장에 적용된 기술 및 데모를 진행함으로써 개발자들의 이해와 기술을 증진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에 연사로 초청된 이택기 한경대학교 교수(전력전자학회 회장)를 만나 이야기를 나눠봤다.
2022.05.20by 권신혁 기자
글로벌 전력 반도체 시장이 53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화합물 기반 전력반도체 부문에서 기술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실리콘(Si)을 넘어서 실리콘카바이드(SiC)부터 질화갈륨(GaN)과 갈륨옥사이드(Ga2O3)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가 차세대 전력 반도체 시장을 점유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관련 기술과 전망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2022.04.13by 권신혁 기자
코로나19 이후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며 8인치(200mm) 파운드리의 몸값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 생산라인을 풀가동해 생산량을 늘리고 있으며 설비투자에도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22.04.12by 권신혁 기자
전자제품의 소형화 트렌드와 더불어 요구 기능에 대한 기대치가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소한의 전력소모로 최대의 디스플레이 성능을 구현하는 효율화가 전력관리반도체의 핵심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2021.11.26by 배종인 기자
최근 부족사태로 인해 차량생산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이슈 속에 국내 자동차용 반도체 국산화 기술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돼 눈길을 끌었다.
2021.10.13by 배종인 기자
전력 및 화합물 반도체 생산을 위한 웨이퍼 생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3년에는 월 1,000만장을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