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1.03by 이수민 기자
솔브레인이 12 Nine 고순도 불화수소 대량생산 능력을 확보했다. 12 Nine(99.9999999999%)은 불순물이 1조분의 1 남아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디스플레이보다 상대적으로 고순도를 요구하는 반도체 기업에도 납품 가능한 수준이다. 일본 수출규제 이전에 국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기업들은 주로 일본산 고순도 불화수소를 사용했다. 그러다 솔브레인이 관련 시설을 신증설하여 생산물량을 확대했고, 국내 고순도 불화수소 수요의 상당 부분을 공급하기 시작하면서 국내 공급 안정성이 확보되었다.
2019.12.19by 이수민 기자
OLED에 이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생산성을 개선할 마이크로 LED 롤 전사기술이 상용화된다. 마이크로 LED 롤 전사기술은 롤 스탬프를 이용하여 임시기판 위에 있는 마이크로 LED 소자를 들어 올렸다가 유연회로 기판의 원하는 위치에 올려놓는 공정을 통해 마이크로 LED 패널을 만드는 기술이다.
2019.12.11by 이수민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시스템반도체 관련 산학연 관계자 약 3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시스템반도체 융합얼라이언스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정부가 지난 4월 30일 발표한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의 후속 조치로, 시스템반도체 융합얼라이언스 2.0 주요 분과의 미래 기술개발 방향 등을 공유하고, 기업 간 협력을 위해 마련되었다.
2019년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이 역대 최고치였던 2018년 644억 달러에서 약 10.5% 하락한 576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0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은 올해 대비 약 5.5 % 증가한 608억 달러를 달성 후, 2021년에는 668억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반도체 업체의 파운드리 및 로직 반도체 생산을 위한 10나노 이하 장비 투자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019.12.10by 이수민 기자
플래그십 스마트폰에는 약 800개에서 1000개에 이르는 콘덴서가 들어간다. 따라서 더 작은 콘덴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무라타 제작소는 0.25×0.125mm 크기에 최대 전기용량이 0.1μF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 GRM011R60J104M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GRM011R60J104M은 내년부터 대량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2019.12.09by 이수민 기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스웨덴의 실리콘 카바이드 웨이퍼 제조업체인 노스텔 AB의 인수 작업을 완료했다. 노스텔은 ST의 글로벌 R&D 및 제조설비에 완전히 통합된다. 150mm 베어 및 에피택셜 SiC 웨이퍼 생산과 200mm 생산은 물론, 와이드밴드갭 소재 R&D 사업도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
2019.12.04by 김동욱 연구원
PCRAM은 물질의 상(Phase)변화를 이용한 메모리이다. 현재로서는 개선해야 할 부분들이 다수 존재하지만 여러 기업 및 정부를 필두로 빠르게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수용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맞춰, PCRAM은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2019.12.04by 이수민 기자
SEMI는 2019년 3분기 반도체 장비 매출액이 149억 달러라고 발표했다. 이는 전 분기 대비 12% 증가했으나, 작년 같은 기간의 158억 달러에 비하면 6% 하락한 수치다. 대만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39억 달러 매출을 기록했다.
2019.12.02by 이수민 기자
2020년 이후 반도체 산업 미래를 확인할 수 있는 세미콘 코리아 2020이 내년 2월 5일(수)부터 7일(금)까지 코엑스에서 3일간 열린다. 전 세계 500여 개의 반도체 회사가 2,200여 개의 부스를 꾸릴 예정이며, 전 세계 반도체 전문가 130명이 25개 이상의 기술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2019.11.28by 이수민 기자
파나소닉은 반도체 부문 자회사 파나소닉 세미컨덕터 솔루션즈를 대만 누보톤 테크놀로지에 매각하기로 했다. 타워재즈와의 합작사인 타워재즈 파나소닉 세미컨덕터의 지분 49%도 넘기기로 했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