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23by 최인영 기자
2019년 국내 LTE 서비스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58.53Mbps, 업로드 속도는 42.83Mbps를 기록하며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상용 와이파이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333.51Mbps, 공공 와이파이의 경우 394.76Mbps로 측정되며 지난해보다 각각 9%, 11.5%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5G 서비스 도입에도 여전히 LTE가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고 있었다.
2019.12.20by 최인영 기자
고사양 대작 게임을 PC나 콘솔 없이 5G 스마트폰만 있어도 즐길 수 있게 된다. KT는 5G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없이 서버에 저장된 게임에 접속해 즐길 수 있는 5G 스트리밍 게임서비스를 출시하고 엄지손가락 크기의 탈착식 미니 조이스틱을 선보이며 소비자 만족도 극대화에 나섰다.
2019.12.19by 최인영 기자
정부가 자율주행 기반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도입에 적극 나서며 완전 자율주행을 위한 5G 기반 V2X 조기상용화 추진에 박차를 가한다. 국토부는 2020년부터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실증을 위해 차량제작 및 C-ITS, 정밀도로지도 등 구축에 행정·재정적 지원을 본격화한다.
2019.12.20by 이수민 기자
양자 내성 암호는 양자 컴퓨터의 보안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암호 기술로, 양자 컴퓨터의 연산능력으로도 풀 수 없는 수학적 난제를 활용한 암호화 방식이다. LG유플러스와 서울대, 크립토랩은 양자 컴퓨팅 시대의 네트워크 보안 취약점 분석 및 양자 내성 암호 알고리즘 연구, 알고리즘 구현 및 소프트웨어 개발, 테스트 환경 제공을 통한 최적의 보안 네트워크 구조와 장비 개발에 협력기로 했다.
오는 2025년에는 5G 서비스가 전 세계 인구의 65%를 커버하며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45%를 처리할 전망이다. 스마트폰 당 월 평균 데이터 트래픽 처리량은 7.2GB에서 24GB로 늘어나고 IoT 연결건수는 2019년 말 13억에서 2025년 말 50억 건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2019.12.18by 최인영 기자
2019년 자율주행 자동차 업계의 관심을 받았던 핵심 키워드 Top5는 레벨4 자율주행, C-ITS, AI, 차량용 반도체, SOTIF 21448 등이다. ICT업계에서 5G가 주목받았던 가운데 단순한 이동수단에서 생활 공간으로 차량에 대한 개념을 변화시킨 자율주행 자동차의 2019년 주요 이슈에 대해 되짚어 봤다.
2019.12.18by 편집부
2020년을 앞두고 e4ds 뉴스에서는 개발 리더십, 글로벌 역량, 기술 확산 등 8개 항목에 대해 전자 엔지니어들을 대상으로 ‘2019 올해의 엔지니어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 5개 분야에서 5인을 선정하고 ‘2019 올해의 기술인상’을 수여했다. 수상자는 유명환 엑세스랩 대표, 박경진 크래카 대표, 조성재 신한대 교수, 배주식 아이웰스 대표, 김학용 IoT전략연구소 대표다.
2019.12.17by 최인영 기자
국내 5G, VR, AR, AI 등 신기술 기반 스마트 콘텐츠가 NIPA가 진행한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해 수출 145억 원, 신규 투자유치 55억 원을 달성하는 성과를 기록했다. 스마트 콘텐츠 관련 기업의 해외 진출 기반 조성을 돕기 위해 마련된 이번 사업은 기업별 니즈와 타깃 국가에 따라 맞춤형 홍보·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했다.
2019.12.15by 이수민 기자
연간 천만 건이 넘는 119 신고는 대부분 음성통화로 수신된다. 119 신고센터에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신고자에게 영상통화를 하고 싶어도 시스템이 미비하여 그럴 수 없었다. 이에 소방청과 KT는 119 신고센터와 응급환자가 5G를 비롯한 무선통신 기반으로 상호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5G 기반 119 영상통화 신고 서비스를 이날 전국 상용화했다.
2019.12.09by 최인영 기자
엘지 유플러스와 국토지리정보원이 최대 30m의 오차범위를 가진 GPS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위도, 경도, 고도 등 절대 위치값을 기준으로 cm 단위로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고정밀 측위(RTK) 기술 고도화를 위한 정밀지도 플랫폼과 C-ITS 사업 진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