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 유영민 장관 ‘MWC 2018’에서 5G 주제로 기조연설

    2018.02.22by 김학준 기자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월 26일부터 시작되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이하 MWC) 2018’에 참가해 5G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다. 전시회 기간 동안 유영민 장관은 KT와 SK텔레콤, LG 유플러스와 간담회를 개최하여 5G 상용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삼성, LG, 에릭슨, 노키아, 화웨이 등 MWC에 참가하는 주요 기업을 방문하여 모바일 산업 동향과 트렌드를 파악하고 스타트업 위주로 구성된 한국관을 찾아 참가 기업을 격려할 계획이다.

  • LG유플러스, 트래픽 과부하 대비 마치고 '진짜' 무제한 요금제 출시

    2018.02.22by 김지혜 기자

    ?기본 데이터 제공량과 속도 제한의 구애없이 무제한으로 롱텀에볼루션(LTE)을 사용할 수 있는 요금제가 출시됐다. LG유플러스는 22일 서울 용산 사옥에서 신규 요금제 상품 출시 기자간담회를 열고 향후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그동안 무제한 요금제는 고객이 기본 데이터 제공량을 모두 소진할 경우 최대 3~5Mpbs로 속도를 제한해왔다. 이는 데이터 트래픽 과부하를 막고 네트워크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기도 했다.

  • 홀로그램 AI 아바타와 마주보고 대화한다

    2018.02.22by 김지혜 기자

    SK텔레콤이 사람 모습의 아바타와 서로 마주보고 대화할 수 있는 '홀로박스(HoloBox)'를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8(MWC 2018)’에서 공개한다. '홀로박스'는 차세대 미디어 기술인 홀로그램(Hologram)에 SK텔레콤 인공지능 플랫폼 ‘누구(NUGU)’를 결합해, 가상의 인공지능 아바타와 얼굴을 마주하고 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다. ‘홀로박스’의 아바타는 집 밖의 생활에서도 언제나 나와 함께 한다. ‘홀로박스’가 주위에 없어도 스마트폰의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해 모바일로 가상의 캐릭터를 불러낼 수 있다.

  • KT, MWC에서 음성기반 차세대 IVI 선보인다

    2018.02.22by 김지혜 기자

    KT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8(Mobile World Congress)’에서 국내 통신사 최초로 IVI 플랫폼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IVI(In-Vehicle Infotainment)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로 차 안에서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와 정보 시스템을 총칭한다. 영화, 게임, TV, SNS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과 내비게이션, 모바일 기기와 연동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KT가 MWC 2018에서 전시하는 IVI(명칭: GiGA drive)는 국내 통신사 최초의 IVI 전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서 통신부터 콘텐츠를 아우르는 통신사의 기술력과 강점이 집약된 서비스이다. 특히 차량 내 클러스터(자동차의 계기판)부터 AVN(Audio ..

  • 자일링스 안흥식 지사장 "5G 상용화 RFSoC로 대비할 것"

    2018.02.20by 김학준 기자

    지난 9일 평창 동계올림픽이 개막과 동시에 5G 시범서비스가 시작했다. 자일링스는 5G를 발판으로 지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KT와 삼성전자가 5G를 구현하고 있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와 협업 중인 자일링스도 중계기와 단말기 등을 통해 시범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했다. 자일링스 안흥식 지사장은 “프리 5G 성격의 이번 올림픽은 매출보다는 자일링스의 기술력을 보여주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이어 “5G 초기 설비에 자일링스의 올프로그래머블 제품이 들어가 기술력을 보여준다면 주요 시스템 구축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얘기했다.

  • 가상공간에서 공연보고 대화하는 ‘옥수수 소셜 VR’ 공개

    2018.02.19by 김지혜 기자

    SK텔레콤이 MWC 2018에서 영화 ‘매트릭스’ 속 가상 공간과 같은 서비스를 선보인다. VR 기기를 쓰고 나의 아바타로 가상 공간에 들어가, 다른 참여자들과 같은 동영상 콘텐츠를 보며 소통할 수 있는 ‘옥수수 소셜 VR(oksusu Social VR)’을 공개한다. ‘옥수수 소셜VR’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에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 ‘옥수수(oksusu)’와 ‘소셜 커뮤니티(Social Community)’ 기능을 결합해, 가상 공간에서 전 세계 친구들과 함께 동영상 콘텐츠를 즐기며 아바타를 통해 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다.

  • 반도체 산업 'Gap 5' 전략으로 2022년까지 선진국과 격차 5년 극복한다

    2018.02.14by 김지혜 기자

    기존 전력의 1/1000배 소모하지만 성능은 1000배인 반도체, 뉴로모픽칩, 사물인터넷 기기에 인공지능을 탑재하는 엣지컴퓨팅 기술 개발이 추진된다. 지난 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반도체 산업의 향후 주요 정책방향을 담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전략’을 보고했다. 내용에 따르면 기존의 실리콘보다 효율성이 높은 탄화규소(SiC), 텔룰라이드(GST), 질화칼륨(GaN) 등 신소재에 대한 상용화 기술연구와 나노 단위를 초월하는 극미세 공정기술 연구를 추진이 목표다.

  • 김동욱 대표 "RTOS 통해 IoT가 요구하는 기술력 제공할 것"

    2018.02.13by 김학준 기자

    “제가 진행하는 강의를 통해 RTOS의 사용 방법과 기초를 터득했으면 좋겠고요. 가능하면 실무에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e4ds에서 진행하는 주간 엔지니어로 선정된 클럭스톤의 김동욱 연구소장 겸 개발 이사가 실시간 운영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이하 RTOS) 소개 전 진행한 인터뷰에서 자신의 강의 목적에 대해 위와 같이 설명했다. 사물인터넷 시대의 기회를 잡기 위해 임베디드 시스템 업체들은 시장이 요구하는 유연하고도 기술력을 갖춘 제품을 시장에 출시해야 한다는 과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M2M(Machine to Machine) 네트워크와 사물 인터넷에서 요구하는 확장성, 모듈화, 연결성, 보안성, 안전성 등의 최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RTOS가 필요..

  • "자율주행차 시장 2위는 없어, 협력만이 살 길"

    2018.02.12by 김지혜 기자

    “현재 국내 자율주행차 산업은 기술도 없고, 법도 없다. 테스트베드와 관련 인력도 확보가 안되어 있는 상황이다” 2030년이면 신차 10대중 4대가 자율주행차가 될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국내 자율주행차 산업의 미래가 밝지 않을거라는 의견이 나왔다. 산업연구원 이항구 선임연구위원은 “미국, 영국, 중국 등 자율주행차에 대한 로드맵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자율주행차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로드맵이 없다”며 “다른 나라의 로드맵에는 기술, 수요 등 자율주행차 산업의 전반적인 부분이 모두 들어가 있는데 국내는 기술과 수요를 다 따로 보고 있어서 기술 로드맵이 수시로 바뀌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