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신 브리핑] 레노버 AR 헤드셋 및 베일 벗은 구글 피드 外

    2017.07.24by 김자영 기자

    #자율주행차_시범도로주행_괜찮나요,#인공지능_레노버도_합류요,#로봇_대처하는건가_대체되는건가,#구글이피드를짓는다

  • SKT, 슈퍼 컴퓨터로도 뚫리지 않는 ‘양자암호통신’ 상용화한다

    2017.07.24by 김자영 기자

    소인수분해에 능한 퀀텀 컴퓨터(또는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면 기존 암호체계가 붕괴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SK텔레콤은 23일 양자컴퓨터의 보안 솔루션으로 양자 난수 생성기(QRNG, 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와 양자 암호 통신 보안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광통신은 무수히 많은 광자가 들어있어 일부 키가 도청되거나 복제돼도 알아챌 수 없어 해킹 위협이 높다. 퀀텀 컴퓨터가 개발되면 기존 암호체계가 붕괴 된다는 것도 이때문이다. 그런데 양자 암호키는 단일 광자다. A가 B에게 정보를 전달할 때, ‘정상적인 코스’의 전달을 제외하고는 의미 없는 정보가 된다. 중간에 해커가 개입해 정보를 측정하고 B에게 재전송할 경우 불확정성과 복제 불가능 원리로 해커는..

  • "중국 주도의 소형 드론 따라가면 망한다" 집중해야할 한국형 산업용 드론은

    2017.07.24by 김지혜 기자

    “미래 항공산업의 핵심기술이 개발 될 수 있는 측면에서 드론이 중요하다. 그래서 국가 기본계획이 필요하다” 한국교통연구원 송기한 본부장은 지난 19일, 드론 산업 발전 기본계획 공청회에서 이와 같이 말하며 국내 드론 산업의 현황과 시장 전망, 육성 목표, 전략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에 대해 계획안에 보완되어야 할 내용을 산학연 관계자들이 조언하는 방식으로 공청회가 진행됐다. 드론 산업 기본계획의 내용은 아직 시장이 성장하는 중인 드론 산업에서 중장기 마스터 플랜에 따른 범정부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과 2026년까지 시장규모 4조 1천억 원 신장, 기술경쟁력 세계 5위 진입, 산업용 드론 6만대 상용화가 목표라는 것이다.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스마트콘텐츠로 국내 경쟁력 살려야”

    2017.07.21by 신윤오 기자

    차세대융합콘텐츠산업협회(회장 최요철)은 지난 20일 안양 스마트콘텐츠센터에서 개최한 ‘2017 스마트콘텐츠 비즈니스 데이’ 행사가 성황리에 개최되었다고 밝혔다. 약 700여 명의 인원이 참석한 이날 행사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유영민)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 윤종록)이 주관하였다.

  • 버전업 된 IoT 플랫폼 모비우스, 글로벌 상용화 확대할까

    2017.07.21by 김지혜 기자

    사물인터넷(IoT)의 진화방향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전자부품연구원(KETI)이 개발한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모비우스2.0’이 공개됐다. 모비우스는 소스코드까지 공개된 오픈소스로 운용되는 플랫폼으로 글로벌 IoT 표준인 ‘oneM2M’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KETI는 20일 양재 엘타워에서 ‘모비우스2.0’을 소개하는 행사를 열었다. 2015년 모비우스1.0을 처음 선보인 이후 개발자들의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업그레이드한 버전으로 공개했다. KETI 박청원 원장은 “IoT가 관심 받지 않던 시기부터 시작해 2.0버전을 오늘 공개하게 됐다. 초연결 사회로 가면 디바이스 간의 상호연동성이 중요한데, 모비우스는 그런 측면에서 기술적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 [기고] 유연한 ADAS 레이더 센서 설계 어떻게 하나

    2017.07.20by 편집부

    TI의 AWR1x 밀리미터파(mmWave) 센서 포트폴리오는 개발자가 보다 안전하고 쉽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mmWave 센싱 아키텍처(그림 2)를 기반으로 하는 AWR1x 센서는 무선주파수(RF) 및 아날로그 기능과 디지털 제어 기능을 단 하나의 칩에 통합시키고 있다.

  • "데이터 기반한 진보된 매칭 기술로 일자리가 인재 찾아낼 것"

    2017.07.20by 신윤오 기자

    "미래에는 진보한 IT 환경과 인공지능를 바탕으로 기계와 인간 간에 좀 더 긴밀하고 몰입적인 관계가 형성될 것이다."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 회장 겸 CEO 마이클 델)가 발표한 ‘2030년, 인간과 기계의 파트너십(Realizing 2030, The Next Era of Human-Machine Partnerships)’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에는 모든 기업과 공공기관이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기술주도형 조직으로 탈바꿈할 것이며, 인간은 AI 등 각종 기술을 조율하고 관장하는 ‘디지털 오케스트라의 지휘자(Digital Conductors)’로 변모할 전망이다. 또한 데이터에 기반한 진보된 매칭 기술로 사람이 일자리를 찾는 것이 아니라, 일자리가 인재를 찾아낼 것이며, 사..

  • 뒤처진 국내 드론 산업, 세계 5위까지 끌어올릴 방법은

    2017.07.20by 김지혜 기자

    지난 18일, 드론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지원 근거 마련의 일환으로 항공안전법과 항공사업법의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이로 인해 그동안 금지됐던 드론의 상용 목적 야간 시간대 및 가시거리 밖 비행이 가능해진다. 올해 전세계 드론 시장 규모가 60억 달러(약 6조 8천697억원)에 달하고, 2020년까지 112억 달러(약 12조 8천 288억원)이상의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가운데 중국은 소형 드론 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비해 국내의 드론 산업화는 뒤쳐지고 있는 상황이다. 국토교통부는 한국교통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함께 ‘드론산업발전기본계획’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 공청회를 개최했다.

  • [Tech tip!] 유선 센서를 무선으로 바꾸는 손쉬운 방법

    2017.07.19by 김지혜 기자

    건물 자동화를 위해서는 주변 환경 요인 변화에 신경써야 한다.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센서를 사용하는데 센서를 추가하게 되면 전력과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방대한 케이블과 배선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무선 센서가 탑재된 사물인터넷(IoT) 기기는 이러한 배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여전히 배선이 필요하며, 주변광 센서와 도어와 윈도우 센서가 그 경우다. 기존의 유선 애플리케이션을 무선으로 구현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상업용 건물에 사용되는 주변광 센서는 특정 공간의 빛의 세기를 감지하여 일정한 작업 공간에서 전체 주변광의 균형을 맞춘다. 일반적으로 광 센서는 센서로 제어되는 조명에 선으로 연결된다. 무선 솔루션을 구현하려면 조명을 무선 커넥티비티를 통해..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