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 인피니언, TTTech와 자율 주행 개발 속도 내고 있다

    2016.03.10by 편집부

    AUDI의 협력사인 TTTech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의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중앙 제어 유닛 “zFAS”를 개발하였다. 이 ECU는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융합할 수도 있다. zFAS에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의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채택함으로써 컴퓨팅 성능과 안전성에 관한 높은 요구를 충족한다.

  • LG전자, LTE/LTE-A 표준특허 5년째 1위

    2016.03.10by 편집부

    미국특허 분석기관 ‘테크아이피엠(TechIPM)’이 지난해까지 미국특허청에 출원된 단말기와 기지국 관련 LTE/LTE-A 표준특허를 분석해 최근 발표했다. 특허 출원 글로벌 기업 중 LG전자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표준특허는 해당 특허를 배제하고는 성능을 구현하기 힘든 기술을 통칭한다.

  • LG유플러스-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절약 파급효과 알리며 실천 문화 확산에 기여

    2016.03.10by 편집부

    LG유플러스와 한국에너지공단 충북지역본부는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절약 공동사업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 캔스톤, 휴대용 스피커로 손색 없는 '듀퐁' 출시

    2016.03.10by 편집부

    스피커에 블루투스 기술을 접목하는 것은 이제 하나의 트렌드로 굳어졌다. 최근 출시되는 상당수 스피커는 사용 편의성과 작은 크기의 휴대성은 물론 블루투스 기술을 적용해 범용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 ST, 스마트 자동차의 안전 강화 위한 MCU 출시

    2016.03.10by 편집부

    ST가 새로운 자동차용 마이크로컨트롤러 SPC57 제품군의 첫번째 제품을 발표했다. 안전 보증과 비용/성능을 동시에 잡는 업계 최고의 조합으로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32비트 파워 아키텍처(Power Architecture™) SPC5 마이크로컨트롤러 플랫폼에 기반한 새로운 제품군은 비용에 민감하면서도, 최고 등급인 ISO26262 ASIL-D 자동차 안전 무결성 수준(Safety Integrity Level)에 이르는 가장 엄격한 안전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하는 자동차 시스템을 타겟으로 한다.

  • 앤시스 코리아, 2016년 국내 CAE 시장 공략 강화

    2016.03.09by 편집부

    앤시스 코리아는 3월 9일 ‘2016 앤시스 코리아 미디어 브리핑’을 개최, 국내 CAE 시장의 현황 및 전망과 함께 신제품 ‘앤시스 17.0’ 발표를 통해 시장 선두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는 자리를 가졌다.

  • ams- ST의 공동 NFC 솔루션, 암 기반 웨어러블 레퍼런스 디자인에 탑재

    2016.03.09

    ams와 다양한 범위의 전자 애플리케이션용 반도체를 공급하는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는 양사 공동 NFC 솔루션이 ARM의 새로운 웨어러블 레퍼런스 디자인에 탑재되어, 안전한 고성능 NFC및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능을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 행자부, 유비쿼터스 행정서비스 4개 시범과제 추진

    2016.03.09

    행정자치부가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함께 첨단 정보기술(IT)을 행정업무에 접목하여 새로운 행정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기 위한 2016년 u-서비스 지원사업 4개 시범 과제를 추진한다.

  • 엘리먼트14, MCU용 NXP Freedom 개발 플랫폼 출시

    2016.03.09

    엘리먼트14와 NXP는 Kinetis KW2x MCU용 NXP의 신제품 Freedom 개발 플랫폼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손쉽게 Zigbee나 802.15.4와 같은 네트워크 기능을 전자제품 설계에 추가할 수 있는 키트로 2개의 보드로 구입 즉시 점대점 연결이 가능하다. 자체적으로 사용 가능한 입출력 기능을 지원하며 외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결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