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피니언_9월_Power and sensing selection guide 2025-2026
image

2주년 맞은 소부장 R&D 지원책 "성과는 어땠나"

소부장 정책 본격화 2주년을 계기로 과기정통부가 그간의 정책 지원성과 공유와 향후 지원 방향을 논의하는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현재 과기정통부는 범부처 소부장 R&D 정책을 지휘하며 주요 품목 R&D 지원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100+85대 R&D 핵심 품목 기술 자..

2021.07.13by 이수민 기자

image

1조 들어갈 '레벨 4+' 자율주행 사업 "반도체 사업과 연계 필수"

레벨 4 자율주행은 비상시에도 운전자 개입이 불필요한 고도의 자동화 수준이다. 융합형 레벨 4+ 자율주행은 여기서 더 나아가 사회 인프라와 서비스의 레벨 4 수준 혁신을 추구한다. 정부는 융합형 레벨 4+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2027년까지 1.1조 원을 투입하기로 ..

2021.07.12by 이수민 기자

image

SE, 클라우드 기반 원격 장비 모니터링 솔루션 공개

원격으로 장비를 유지보수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솔루션을 채택하는 공장이 늘고 있다. 공장 장비의 디지털화는 OT 관리자에게 장비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장비 중단 예방, 원격 관리에 필요한 가시성도 확보해준다. 이를 가속하기 위해 슈나이더 ..

2021.07.08by 이수민 기자

image

세계 2위 규모 나노 전시회 '나노코리아 2021' 개막

세계 나노 산업 관계자의 교류와 협력을 지원하는 나노코리아 2021 행사가 7일부터 9일까지 경기도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19회를 맞이하는 나노코리아 행사는 세계에서 2번째로 큰 나노기술 전시회로, 올해는 5개 세부 전시회에 270개 기관과 기업이 473개의..

2021.07.07by 이수민 기자

image

K-반도체 전략, '2030 韓 반도체 강국' 실현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미국이 중국을 대상으로 반도체 기술을 무기화하자, 중국도 반도체 자립에 막대한 투자를 감행하는 등 맞불을 놓고 있다. 여기에 일본, EU, 대만 등 반도체를 둘러싼 세계의 관심이 뜨겁다. 이에 정부도 5월부터 일련의 K-반도체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이는 세계 주요국의..

2021.07.06by 이수민 기자

image

'21年上, 수출 역대 최대 "차량·가전 등 상승세 견인"

올해 상반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1% 증가한 3,032.4억 달러로 나타났다. 주요 교역국 경기회복세 강화, IT 및 신산업 수요 확대, 국제유가 상승 등 교역 여건 개선으로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4개월은 월 수출액 500억 달러 돌..

2021.07.05by 이수민 기자

image

이통3사 5G 기지국 로밍 모델, 5G 망 확대로 이어지나

과기정통부와 이통3사가 GSMA 글로벌 모바일 어워드에서 5G 산업 파트너십 상을 받았다. 농어촌 5G 공동이용은 정부와 통신기업들이 협력해 특정 지역에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한 세계 최초, 최대 규모 협업 모델로, 주요 도심을 제외하면 도달 범위가 턱없이 모자란 5G ..

2021.07.02by 이수민 기자

image

래티스, 에지 시스템 대역폭 높일 범용 FPGA 공개

최신 에지 디바이스들은 열 관리를 위한 저전력 소비, 칩 간 고속 통신을 위한 높은 시스템 대역폭, 조밀한 설계를 위한 소형 폼팩터와 컴포넌트, 강력한 메모리 리소스, 핵심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뛰어난 안정성을 요구한다. 이에 래티스 반도체가 자사의 넥서스 플랫폼의 4번..

2021.06.30by 이수민 기자

image

난국에 빠진 미국 반도체 공급망, 어디부터 손댈까?

미국 반도체 산업은 글로벌 반도체 시장 매출의 반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역량은 12%에 불과하다. 팬데믹과 몇 차례의 셧다운에 반도체 공급부족 사태를 겪은 美 백악관은 상무부를 통해 반도체 공급망 보고서를 작성했다. 보고서는 미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을 재건하기..

2021.06.28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