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7.27by 이수민 기자
STM32MP157C-DK2 디스커버리 키트를 이용하여 독창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STM32MP1 완전 정복 퀘스트 챌린지'가 막을 내렸다. 238명이 도전한 이 대회에서 LED 컨트롤러를 개발한 '루달스' 엔지니어가 1위를 차지했다. 그에게 입상한 소감과 엔지니어로서 얻을 수 있었던 경험에 관해 물었다.
2020.07.27by 이수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제34차 연구개발특구위원회의 심의와 의결을 거쳐 강소연구개발특구 6곳을 신규 지정했다. 강소특구는 대학, 출연연 등 기술 핵심기관 중심의 소규모·고밀도의 공공기술 사업화 거점을 지향하는 연구개발특구 모델이다. 특구로 지정되면 해당 지역에 기술사업화 자금, 인프라, 세제 혜택, 규제 특례 등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수반된다.
2020.07.27by 이수민 기자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뉴딜 정책 일환으로 주민센터, 도서관, 복지센터 등 공공장소에 설치된 노후 공공 와이파이 품질 고도화를 올해 말까지 추진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측은 기존 노후 장비는 와이파이 6로 대체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다수 이용자 접속 시 현저하게 저하되던 속도, 접속 지연 등의 품질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0.07.21by 이수민 기자
스마트 제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제조 산업의 환경과 활용 목적에 맞게 여러 최신 기술들을 유연하게 연결하고 통합해야 한다. 이를 위해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기존에 존재하는 국제 표준들을 활용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2020.07.20by 이수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 발표한 한국판 뉴딜 계획 중 디지털 뉴딜의 중심축인 데이터, AI, 클라우드 분야 2020년도 7개 추경 사업에 대한 사업설명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관련 사업들은 7월 10일부터 7월 31일까지 사업공고 중이며, 8월 중에 선정평가를 거쳐 본격 착수될 예정이다.
2020.07.15by 이수민 기자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과 이통3사 대표는 정부서울청사에서 2022년까지 5G 전국망 구축을 위한 긴급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를 통해 이통3사와 SK브로드밴드는 2022년까지 유무선 통신인프라 등에 약 24.5조에서 25.7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2020.07.14by 이수민 기자
28GHz 5G 휴대전화의 출시 전 전자파 측정시간이 LTE 휴대전화 수준으로 단축된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28GHz와 3.5GHz 5G 휴대전화의 신제품 출시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정말일까? 적어도 올해 안에는 이번 간소화에 득을 볼 휴대전화는 없을 전망이다. 아직 28GHz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20.07.09by 이수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립전파연구원에서 5G 휴대전화 및 기지국 등의 전자파 노출량을 측정한 결과,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고 밝혔다. 음성데이터 통화, 대용량 메일 전송, 동영상 시청 등 실제 사용 환경에서 5G 휴대전화의 전자파흡수율을 측정한 결과, 기준(1.6W/Kg) 대비 1.5~5.8% 수준으로 나타났다.
2020.07.07by 이수민 기자
많은 조직이 AI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조직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AI 알고리즘과 모델이 아닌, AI 기반 제품과 서비스를 시장에 출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전체 시스템 설계 워크플로우에 AI를 통합해야 한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