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chip _ Sep 25
image

ICT 기기 적합성평가 제도 간소화된다 "20일부터 시행"

과기정통부는 ICT 제품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업체의 적합성평가 부담을 완화하고, 새로운 환경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방송·통신기자재 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를 개정하고 2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주요 개정내용은 IoT 기기 등의 적합성평가 절차 간소화, QR코드를 ..

2020.10.19by 이수민 기자

image

포스트 코로나에도 유효할 원격근무 체계 수립하려면?

코로나19 발생 전부터 세계에서 가장 큰 전(全) 직원 원격근무 기업이었던 깃랩이 한국 기업들에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원격근무 노하우를 공유했다. 깃랩은 원격근무자들이 협업 소프트웨어, 화상회의 플랫폼, 공유문서 등을 통해 협력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2020.10.16by 이수민 기자

image

[인터뷰]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전원부터 출발해야"

전자제품을 설계하는 엔지니어가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일까? 바로 전원이다. 안정적인 전원이 뒷받침되어야만 설계한 제품이 제 성능을 낼 수 있다. 크래카의 박경진 대표에게 효과적인 전원 설계와 안정적인 전원 관리를 위해 관련 엔지니어가 어떤 마음가짐을 가..

2020.10.15by 이수민 기자

image

신소재 R&D에 데이터와 AI 도입된다 "허브 구축 확정"

데이터와 AI를 소재 연구에 접목하여 실험과 이론에 의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신소재 개발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과기정통부는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고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 및 활용방안을 확정하고 본격 추진한다 밝혔다.

2020.10.15by 이수민 기자

image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성장세로... 코로나19 영향

코로나19로 비대면 디지털 경제가 가속되며 반도체 수요가 늘면서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감소세에서 성장세로 돌아섰고 이 추세가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SEMI 2020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년 대비 약 2.4%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21년에..

2020.10.14by 이수민 기자

image

AI 반도체로 2030년 종합 반도체 강국 도약에 시동건다

AI 반도체 강국 도약을 위한 발판이 마련된다. 정부가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AI 반도체 시장은 지배적 강자가 없는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정부는 세계 최고의 메모리반도체 제조 역량..

2020.10.13by 이수민 기자

image

5G 기반 산업, 향후 10년간 8조 달러에 달할 전망

5G 기반 산업이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GDP에 약 8조 달러, 우리 돈으로 약 9,187조 원을 추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노키아는 노키아 벨 연구소와 협력하여 한국을 포함한 8개 국가 6개 산업 의사결정권자 1,62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바탕으..

2020.10.12by 이수민 기자

image

코로나19 대응이 촉발한 신산업 창조와 구산업 변혁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2천6백만을 넘겼다. 백신이 개발돼도 각종 난관이 기다리고 있어 코로나19 종식은 내년 초에도 어려울 전망이다. 사회와 기업은 달라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새로운 국가 정책, 변화한 업무수행 방식,..

2020.10.06by 이수민 기자

image

반도체 M&A 폭풍, 두 번째로 셌다 "631억 달러 규모"

미·중 무역분쟁 격화, 각국 정부의 자국 반도체 산업 보호 기조 강화, 그리고 코로나19 확산으로 위축됐던 반도체 기업 M&A가 3분기 들어 모처럼 활기를 띠었다. 반도체 시장 조사전문업체 IC인사이츠는 7월과 9월에 있었던 두 차례의 대규모 계약에 따라 2020년이 ..

2020.10.06by 이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