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G 투자 촉진 3대 패키지로 '글로벌 5G 우위' 유지한다

    2020.01.02by 이수민 기자

    국내 5G 가입자는 2019년 12월 14일 기준으로 약 449만 명을 돌파했으며, 기지국은 2019년 12월 20일 준공신고 기준 94,407국을 넘어섰다. 단말기 판매 성과도 컸다. 전 세계 5G 스마트폰 점유율은 2019년 3분기 기준 삼성전자가 74.2%로 1위를 차지했으며, LG전자도 5.6%를 기록했다. 전 세계 5G 장비 점유율에서도 2019년 3분기 기준 삼성전자가 23.3%로 2위를 차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와 같은 5G 시장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5G 관련 산업 육성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 CES 2020 관통하는 2020년 5대 기술 트렌드

    2019.12.31by 이수민 기자

    미국 CTA는 세계 최대의 가전전시회 CES 2020 개막을 앞둔 지난 11월, 2020년에 주목해야 할 5대 기술 트렌드를 공개했다. CTA가 선정한 5대 기술 트렌드는 디지털 치료(Digital Therapeutics), 플라잉 카(Flying Cars), 미래 식품(The Future of Food), 안면인식(Facial Recognition), 로봇(Robots)이다.

  • 2018년 말 기준 벤처기업 정밀 실태조사 발표

    2019.12.31by 이수민 기자

    중소벤처기업부와 벤처기업협회가 2018년 말 기준 벤처기업 정밀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8년 말 기준 벤처기업 수는 36,065개로, 2017년 35,187개에 비해 878개 증가했다. 2018년 말 벤처기업들의 총매출액은 192조 원으로 국내 재계 2위에 해당하는 매출 규모로 나타났다. 벤처기업당 평균 매출액은 2017년 49.3억 원에서 2018년 53.2억 원으로 7.9% 증가했다. 한편 42.6%의 벤처기업이 4차 산업 관련 분야에서 활동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 취약계층 대상 제품 실증하는 생활안전 리빙랩 개소

    2019.12.30by 이수민 기자

    생기원 국가산업융합지원센터는 노인, 영유아, 장애인 등 사회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개발된 제품의 실증 지원을 강화하고자 생활안전 리빙랩을 구축했다. 화성시민안전교육센터 3층에 자리 잡은 생활안전 리빙랩은 약 1,207제곱미터 규모에 가정, 요양원, 유아원, 호텔과 유사한 실제 실험공간과 VR 장비를 갖춘 가상 실험공간, 시제품 제작이 가능한 프로토타이핑 공간 등으로 구성됐다.

  • '19년 국내 IT 서비스 시장, '18년보다 성장세 둔화

    2019.12.23by 이수민 기자

    2019년 국내 IT 서비스 시장은 디지털 기술 기반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작업이 기업 전반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IT 서비스 시장 구조 변화가 가시화되면서 전년 대비 3.3% 성장할 전망이다. 장기적으로는 주요 산업에서 등장하는 단일 프로젝트 규모 축소로 대규모 사업의 감소 추세가 지속되면서 시장 성장세 조정 양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매니지드 서비스 시장은 클라우드의 도입 확대로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는 증가하겠지만, 전이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이로 인한 시장 성장세 조정 양상이 나타날 전망이다.

  • 차세대 마이크로 LED 롤 전사기술 상용화 추진돼

    2019.12.19by 이수민 기자

    OLED에 이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생산성을 개선할 마이크로 LED 롤 전사기술이 상용화된다. 마이크로 LED 롤 전사기술은 롤 스탬프를 이용하여 임시기판 위에 있는 마이크로 LED 소자를 들어 올렸다가 유연회로 기판의 원하는 위치에 올려놓는 공정을 통해 마이크로 LED 패널을 만드는 기술이다.

  • 데이터 시대 원년 될 2020년 5대 기술 트렌드

    2019.12.19by 이수민 기자

    델 테크놀로지스가 앞으로의 10년 동안 일어날 혁신과 기술 트렌드 전망을 발표했다. 2020년을 새로운 데이터 시대(Next Data Decade)의 원년으로 본 델 테크놀로지스는 급증하는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는 컴퓨팅, 에지(Edge), 클라우드와 같은 새로운 데이터 시대의 근간이 되는 기술과 혁신에 대해 예측했다.

  • 2019년 산업자동화 주요 이슈 5가지 톺아보기

    2019.12.18by 이수민 기자

    2019년은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관심으로 뜨거웠던 해였다. 정부는 지난 6월, 세계 4대 제조강국 도약을 위한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을 발표했다. 전략 달성을 위해 정부는 2022년까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 3만개를 보급하고, 2030년까지 스마트 산단 20개를 조성하기로 했다. 업계에서도 CPS, MEC 등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도입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OPC-UA 프로토콜과 TSN 규격 등 IoT 연결성을 높이는 표준을 확립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 2019년을 관통하는 ‘자율주행’ 핵심 키워드 Top5

    2019.12.18by 최인영 기자

    2019년 자율주행 자동차 업계의 관심을 받았던 핵심 키워드 Top5는 레벨4 자율주행, C-ITS, AI, 차량용 반도체, SOTIF 21448 등이다. ICT업계에서 5G가 주목받았던 가운데 단순한 이동수단에서 생활 공간으로 차량에 대한 개념을 변화시킨 자율주행 자동차의 2019년 주요 이슈에 대해 되짚어 봤다.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