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4ds+ 멤버십

Sign up for e4ds+ membership and experience premium paid articles

You can use paid webinars, conferences, conference review content, etc.
at a special membership discount price.

전체기사 248건
  • AI 인프라, ‘전력 효율’ 관건...韓 반도체 ‘그린에너지’ 자급 빨간불

    2024.07.26by 권신혁 기자

    생성형 AI가 촉발한 AI 인프라 확충 추세로 인해 GPU, AI 가속기, 고용량 SSD와 HBM 등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많은 연산량으로 전력소모가 높은 AI 서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데이터센터 운용비용 절감과 RE100 이행에 대한 압박이 높아지면서 저전력·그린..

  • 3D 센서 시장 폭발적 성장세 年 16%↑

    2024.07.23by 권신혁 기자

    전세계 3D 센서 시장이 2024년 61억달러 규모로 평가되고 있는 가운데 5년 내 128억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2배 이상의 확장이 예상되고 있다.

  • 엔비디아, “美 수출규제 부합 中 전용 AI칩 개발 중”

    2024.07.22by 김예지 기자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전해진 해당 소식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중국 내 주요 유통 파트너 중 하나인 ‘인스퍼’와 협력해 ‘B20’이라고 명명된 칩의 출시와 유통을 추진 중이다.

  • 850만대 IT중단 사태…‘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대응책 부각

    2024.07.22by 김예지 기자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 사태로 전 세계적으로 윈도우(window) 기기가 피해를 입은 가운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단일 퍼블릭 클라우드에 의존하지 않고, 타사의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On-premise)로 이종의 ..

  • AI 디바이스 시장 확장...전세계 IT 지출 전년比 7.5%↑

    2024.07.22by 권신혁 기자

    AI 솔루션이 우리 일상 생활 속으로 스미고 있다. 공공 인프라뿐 아니라 가전 제품과 주거 공간 인프라에서 AI 기술이 탑재되면서 AI 디바이스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이에 전세계 IT 지출이 지속해서 커질 것으로 전망되며 AI 인프라 시스템 지출 또한 급증할 것으로 ..

  • 자동차용 반도체, 첨단 파운드리 의존 커진다

    2024.07.18by 배종인 기자

    향후 SDV(Software Defined Vehicle) 등 자동차가 첨단화, 전동화되면서 자동차용 반도체 기술 수준이 향상되고, 이를 생산하는 반도체 공정도 첨단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TSMC, 삼성전자 등 첨단 반도체 파운드리도 자동차용 반도체 ..

  • “모바일 PCB 면적↓ 덩달아 EMI↑”...컨포멀 실드 1석 2조 효과

    2024.07.17by 권신혁 기자

    첨단 디바이스 개발 추세가 소형화·다기능·배터리 기반 등으로 흘러가면서 제품 내 칩-칩, 칩-부품 간 배치는 출퇴근길 9호선 급행열차 내부처럼 빼곡하게 들어차고 있다. 이에 EMI 이슈가 증가하면서 패키징·소재적인 해법으로 대응책 마련을 고심하고 있다.

  • “센서 산업 획기적 디바이스 등장 必”

    2024.07.16by 배종인 기자

    AI 및 로봇, IoT의 발달로 인해 디바이스들이 지능을 갖추며, 데이터 수집을 위해 센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반도체에서 비중이 낮은 센서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센서를 이용할 획기적인 디바이스의 등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 AI PC, PC 시장 견인

    2024.07.12by 배종인 기자

    2022년부터 2023년 초까지 지속적인 하락을 겪은 PC 시장이 AI 현실화로 인해 지속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LLM에서 소비자 환경에 맞는 온디바이스 PC 시장으로 확대되며, 관련 부품 시장도 지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Canalys #레노버 ..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