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로 검색하여 1044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2021.03.02by 이수민 기자
IBM 기업 가치 연구소가 기업들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멀티클라우드 활용 현황, 그리고 멀티클라우드 관리 방식을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는 기업이 단일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한 기업보다 2.5배 더 큰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1.02.25by 명세환 기자
LG유플러스가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에 스마트 에너지플랫폼을 구축한다. 그 첫 단계로 산업단지 공장 에너지 관리시스템(CEMS)을 구축하고 운영할 계획이다. CEMS는 입주 기업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공장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입주 기업은 서버 등 별도의 물리적인 IT 인프라를 소유하지 않더라도 에너지 관리에 필요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2021.02.23by 이수민 기자
데브옵스는 기업들이 인적자원, 프로세스, 툴을 융합하여 적응형 IT 및 비즈니스 민첩성을 실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하지만 개별 소프트웨어로 전체 데브옵스 환경을 구성하면 수백 개에 이르는 툴을 사용해야 하므로 시스템에 부담을 준다. 따라서 효율과 생산성, 보안, 규정 준수와 거버넌스를 달성할 수 있는 단일 애플리케이션 기반 데브옵스 플랫폼 구축이 ..
2021.02.15by 이수민 기자
LG유플러스가 VM웨어와 함께 소프트웨어를 통한 실시간 품질 관리 및 클라우드 접속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기업전용 U+ SD-WAN 솔루션을 출시했다. 기업고객은 기존 업무통신망을 바꾸지 않고 U+ SD-WAN으로 회선 서비스 품질을 올리는 동시에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2021.01.27by 이수민 기자
유블럭스가 LPWA 및 GNSS 기술을 14×14mm SiP 폼 팩터에 통합한 소형 셀룰러 모듈, ALEX-R5를 출시했다. ALEX-R5는 즉시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 보안 기능과 위치 정확도가 높은 유블럭스 M8 GNSS 칩, 보안이 강화된 UBX-R5 LTE-M/NB-IoT 칩셋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2020.12.26by 명세환 기자
SK텔레콤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국내 최초로 5G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인 SKT 5GX 에지를 상용화했다. SKT 5GX 에지는 5G MEC 인프라에 AWS 웨이브렝스를 적용한 서비스로, 고객들이 초저지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2020.12.28by 이수민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재택/원격근무 활성화와 디지털화 가속으로 ICT 업계는 때아닌 호황과 기회를 맞이했다. 올해뿐만 아니라 내년에도 현재와 같은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가트너가 조직의 운영 복원력에 중점을 둔 유망 전략기술들을 선정했다. 행동 인터넷이나 분산 클라우드를 비롯한 9가지 기술을 통해 다가올 2021년을 대비해보자.
2020.12.21by 이수민 기자
클라우드 컴퓨팅은 실시간 처리가 필요한 각종 IoT 서비스를 수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갈수록 커져가는 데이터 볼륨과 네트워크 트래픽에 따른 서버의 과부하 문제, 모든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개인정보 침해 문제 등도 고민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가 발생한 장소나 가까운 곳에서 실시간으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에지 컴..
2020.12.17by 강정규 기자
아비바가 미국 텍사스 소재의 산업 교육 플랫폼 및 콘텐츠 기업인 OEG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아비바의 산업 교육 솔루션인 유니파이드 러닝에 OEG의 원격 3D 교육 콘텐츠가 추가된다. 이와 함께 OEG의 교육 관리 시스템, 운영자 교육 시뮬레이터와 연계하여 주문형, 체험형 교육 과정 라이브러리도 구축된다.
2020.12.14by 이수민 기자
네이버클라우드와 인텔이 차세대 스마트닉 및 스토리지 네트워크 가속화 연구와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FPGA 개발을 위한 툴, 라이선스, 개발 키트, 인력 등을 상호 지원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퍼블릭 클라우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2020.12.09by 이수민 기자
SK인포섹 EQST 보안전문가 그룹이 2021년도 사이버 위협 전망 보고서를 공개하며 내년에 발생 가능성이 큰 5대 사이버 위협을 발표했다. 5대 위협은 제조 분야 산업 제어 시스템 공격, 방어 체계 우회 랜섬웨어 공격,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공격,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보안 요소 증가, 온택트 환경 악용 보안 위협 등이다.
2020.12.01by 강정규 기자
KT가 AI, IoT, 빅데이터, 데브옵스등 다양한 플랫폼을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DX 플랫폼을 출시했다. KT DX 플랫폼 이용을 원하는 기업고객은 KT 클라우드 포털에서 서비스 신청 후 즉시 이용이 가능하며, 원하는 기업고객은 전문컨설팅도 받을 수 있다.
2020.12.01by 이수민 기자
5G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설계하면 수백만 대의 디바이스를 고밀도 환경에 구축하여 스마트 공급망, 자율주행, 스마트 제조, 대규모 IoT 등 다양한 혁신이 가능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5G 네트워크 및 서비스가 엔터프라이즈 레벨의 보안을 제공해야 한다. 이에 팔로알토 네트웍스가 5G 기반의 네트워크, 클라우드, 디바이스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5G ..
2020.11.23by 이수민 기자
SK텔레콤과 삼성전자가 함께 차세대 클라우드 코어망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차세대 클라우드 코어망은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 데이터 트래픽의 인터넷 연결을 위해 단말 인증, 고객 서비스, QoS 관리 등을 제공하는 셀룰러 인프라로, 국제 표준 Rel.16을 충족하는 첫 코어망이다.
2020.11.18by 이수민 기자
인텔이 5G, AI, 에지, 클라우드 등의 워크로드 전반에서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가속하는 맞춤형 솔루션인 '인텔 eASIC N5X'를 발표했다. 이는 인텔 FPGA 호환 하드 프로세서 시스템을 내장한 최초의 구조화된 eASIC 제품군이다. 고객은 인텔 eASIC N5X로 고객 맞춤형 로직과 FPGA에 내장된 하드 프로세서를 활용한 디자인을 '구조화된 ASI..
2020.11.10by 이수민 기자
많은 기업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을 추진 중이다. 특히 5G 및 에지 컴퓨팅 기술이 계속 발전하고 있어 원격 환경에서의 높은 제어 역량이 중요해졌다. IBM은 기업 고객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 호스팅 된 애플리케이션을 AT&T 네트워크를 통해 'IBM 클라우드 새틀라이트'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 밝혔다.
2020.11.10by 김동우 기자
WD가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2020 플래시 메모리 서밋에서 새로운 NVMe SSD 솔루션 3종을 공개하고 차세대 데이터 중심 스토리지 아키텍처 확장을 발표했다. 3종은 낸드 플래시 설계, 생산부터 자체 SSD 컨트롤러 및 펌웨어 개발까지 아우르는 웨스턴디지털만의 수직적 통합 능력을 바탕으로 탄생했다. WD는 이번 발표를 통해 클라우드부터 OEM, 엔터프라..
2020.11.09by 강정규 기자
PKI 채택이 늘면서 데이터 보호를 위한 기업의 인프라 규모와 범위도 커진 것으로 드러났다. 엔트러스트가 발표한 '2020 글로벌 PKI 및 IoT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PKI는 클라우드, 모바일 기기, 본인 인증, IoT 등 주요 디지털 이니셔티브에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며 IT 인프라의 핵심으로 자리잡았다.
2020.11.06by 김동우 기자
TACO는 SKT가 자체개발한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으로, 컨테이너 기술과 쿠버네티스 기술을 적용해 우수한 확장성과 유연성을 보유하고 있다. 컨테이너는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 서버 속 원하는 곳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쿠버네티스 기술을 이용하면 서비스 점검이나 업데이트를 할 때 시스템을 중단하지 않아도 되고 자가 회복도 가능해 서비스를 ..
2020.11.05by 김동우 기자
이번 행사는 현대화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비롯해 데이터 모델링, 다중 문서 트랜잭션, 애널리틱스, 스키마 디자인, 인공지능, 머신러닝, 서버리스 몽고DB,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클라우드, 오토메이션 등을 논의하는 연례행사다. 자사 솔루션의 최신 버전을 비롯해 국내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며 오는 12일 개최되는 한국 행사에서는 10여 명의 연사자가 나서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