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홈’로 검색하여 138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CyberLink가 AIoT 산업에 적용 가능한 얼굴 인식 엔진을 CES 2020을 통해 선보인다. 생체 인식 솔루션 FaceMe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스마트시티, 스마트보안, 스마트홈 등 AIoT 응용 프로그램에 신뢰할 수 있는 고정밀 실시간 안면인식 기능을 제공한다.
2019.12.20by 최인영 기자
실리콘랩스와 Z-Wave 얼라이언스가 모든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 스택 개발사들을 위해 회원사들의 비준을 받은 멀티소스 무선 표준에 해당하는 Z-Wave 규격을 2020년 3분기에 공개한다.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이를 통해 스마트홈 표준 발전에 기여하는 동시에 sub GHZ Z-Wave 무선 디바이스와 소프트웨어 스택 개발 및 공급을 할 수 있게 된..
2019.12.23by 최인영 기자
스마트홈 시스템 개발자는 음성 명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원거리 음성 포착 성능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동안 제한된 마이크 센서 숫자와 신호 프로세싱 성능으로 인해 시끄러운 환경에서 음성 명령을 포착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에 TI 코리아가 원거리 음성 포착 성능을 높인 4채널 오디오 ADC인 TLV320ADC5140을 한국 시장에 공개했다. TI 버브라운 오..
2019.11.19by 이수민 기자
노르딕 세미컨덕터가 nRF52 시리즈의 5번째 제품인 nRF52833 멀티프로토콜 SoC를 발표했다. nRF52833은 블루투스 LE, 스레드, 지그비를 비롯하여 독자적인 2.4GHz 무선 연결을 지원한다. FPU와 64MHz 32비트 Arm Cortex-M4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40~105℃의 온도 범위에서 동작 인증을 획득했다. 512KB..
2019.10.22by 이수민 기자
LG유플러스가 헬스와 쇼핑 분야에 5G를 접목한 생활밀착형 5G 서비스인 '스마트홈트'와 'U+ AR쇼핑'을 발표했다. U+의 스마트홈트는 카카오VX와 독점 제휴해 근력, 요가, 필라테스, 스트레칭 등 약 200여 편 이상의 헬스 콘텐츠를 제공한다. 콘텐츠는 연말까지 400여 편 이상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U+ AR쇼핑을 활용하면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 중인..
2019.10.15by 이수민 기자
클라우드 커넥티비티와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함에 따라 디바이스를 네트워크나 클라우드에 빠르게 연결할 수 있는 제로터치 프로비저닝이 날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옵티가 트러스트 M 솔루션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보안을 강화하는 동시에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옵티가 트러스트 M 솔루션은 고유한 디바이스 ..
2019.08.26by 이수민 기자
이산화탄소 농도는 공기 질이 나쁘다는 것을 알려주는 하나의 지표다. 이 무색무취한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서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솔루션은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싸거나 성능이 좋지 않다. 이에 인피니언은 초소형 이산화탄소 센서인 센시브 PAS210를 출시했다. 센시브 PAS210은 고감도 MEMS 마이크로폰을 감지기로 사용해서 크기를 극히 소형화했으며, 스마트..
2019.07.07by 명세환 기자
초연결이 가능한 5G 시대에는 스마트홈,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등의 구현을 위해 각종 센서를 비롯한 수많은 IoT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동작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IoT 단말은 해킹, DDoS 공격 등의 수많은 보안 위협에 노출되기 때문에 단말 자체의 보안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KT는 이런 보안 위협으로부터 사전에 보안성이 검증된 Io..
2019.05.25by 이수민 기자
누보톤 테크놀로지가 2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첫 세미나를 개최한다. 세미나와 더불어 누보톤은 최근 출시한 MCU 제품들을 기반으로 산업 제어, 저전력 애플리케이션, IoT 보안, 스마트홈 애플리케이션 4개 분야에서 특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할 예정이다. 누보톤은 8051, Cortex-M0/M4/M23, ARM9 코어를 채택한 1..
2019.04.23by 이수민 기자
3D 익스피리언스 플랫폼 및 3D 익스피리언스 랩을 통해 대기업, 스타트업, 제조업체 등을 지원하는 다쏘시스템이 CES 2019에 참가한다. 다쏘시스템은 가상환경 및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지속가능하고 개인화된 미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다쏘시스템 부스에서는 3D 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이 구현하는 스마트홈, 모빌리티, 소비자 및 딜..
2019.01.09by 이수민 기자
LG전자가 스마트 TV, 디지털 사이니지, 스마트 가전에 독자 플랫폼 webOS를 적용한 데 이어 자동차, 로봇, 스마트홈 등에도 확대하기로 했다. 2014년부터 webOS는 스마트 TV 등 LG전자 스마트 기기에 탑재돼 안정성을 검증 받았다. 특히 새로운 서비스와 기술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개발자들이 다양한 분야의 제품에..
2018.12.06by 이수민 기자
올해 9월 발표된 스마트홈 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홈 산업 매출은 2025년까지 6.8%씩 성장해 4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중소 가전 기업들은 대기업 중심의 시장 진입 장벽을 스마트홈 사업의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SK텔레콤은 이에 중소 가전 제조 업체들이 보다 편리하게 다양한 스마트홈 기기를 만들 수 있도록 ‘Easy R..
2018.11.27by 이수민 기자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새로운 DLP Pico 0.23인치 칩셋을 사용하면 휴대용 디바이스의 크기와 전력을 줄이면서 HD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설계할 수 있다. DLP Pico 0.23인치 칩셋을 통해 개발자는 스마트홈 디스플레이, 피코 프로젝터, 스마트 스피커 디스플레이, AR 및 VR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양한 차세대 휴대형 디스플레이를..
2018.11.25by 이수민 기자
LG전자가 인공지능 스마트홈을 구현하기 위해 무선인터넷(Wi-Fi)을 탑재한 스마트 가전의 글로벌 누적 판매량이 최근 500만대를 돌파했다.
2018.08.16by 이수민 기자
스마트홈 기술이 빠르게 성장해 도입되고 있다. 수백만 가정에서 비디오 초인종, 원격 카메라 모니터 및 보안 제어 패널 같은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수치는 앞으로 더 빠르게 증가할 것이다. 예전의 보안 시스템은 침입이 발생했을 때 단순히 소리로 경보를 울렸다면 오늘날의 이러한 시스템들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집안의 여러 곳을 원격적으로 모니터링 ..
2018.04.26by 김지혜 기자
실리콘랩스는 시그마 디자인스의 Z-웨이브(Z-Wave) 사업 및 100여 명의 인원으로 구성된 사업팀에 대한 인수작업을 모두 마쳤다고 밝혔다. Z-웨이브는 스마트홈을 위한 선도적인 메시 네트워킹 기술이다. 현재 Z-웨이브 얼라이언스에는 전세계 700개 이상의 제조사와 서비스 제공회사가 회원사로 참여하여, Z-웨이브 인증을 통해 상호운용이 가능한 2,..
2018.04.20by 김지혜 기자
전자부품연구원(KETI)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가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분야 글로벌 선도기관인 엔오션 얼라이언스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에너지 자립형 IoT는 스마트홈붙처 스마트공장까지 실생활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기기의 전력공급을 위해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하는 기술로, IoT기기의 배터리 교환 등 유지관리에 드..
2018.04.18by 김지혜 기자
LG전자가 이탈리아 명품 가구 브랜드 ‘나뚜찌’와 IoT 거실을 꾸민다. 양사는 17일부터 22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스마트홈을 선보인다. 이 공간은 ‘나뚜찌’ 가구와 ‘LG 시그니처’ 제품을 전면에 내세운다. ‘나뚜찌’ 전시관은 ‘나뚜찌’의 ‘콜로세오’ 소파를 비롯해 LG 시그니처 올레드 TV, LG 시그니처 ..
2018.04.13by 김학준 기자
LG유플러스는 네이버와 협업하여 인공지능 스마트홈 서비스 ‘U+우리집AI’를 지원하는 신규 스피커 모델로 ‘프렌즈플러스 미니언즈’를 출시한다. 이는 네이버의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가 탑재된 ‘프렌즈플러스’ 스피커에 인기 캐릭터인 ‘미니언즈’ 디자인이 새롭게 적용된 모델이다. 프렌즈플러스 미니언즈의 특징은 ‘미니언즈와 대화하기’ 기능이다. ..
2018.04.03by 김학준 기자
SK텔레콤은 자사의 음성인식 AI 스피커 ‘누구’에 아파트 관리비 조회 기능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국내 아파트 거주자라면 SK텔레콤 ‘스마트홈’ 앱에 자신의 아파트 동호수 정보를 등록하고 ‘누구’, ‘누구 미니’, ‘Btv 누구’를 통해 아파트 관리비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누구’는 고지서 발부 시점이 되면 알림을 통해 관리비 청구 사실..
2018.03.28by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