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9.14by 김자영 기자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다른 말, ‘코딩’이 논리와 창의성을 키워준다 하여 내년부터 초중고 교육과정에 의무 도입된다. ‘초등학생이 코딩을?’하고 갸우뚱했던 의문점이 로보월드 2017에서 풀렸다. 선생님의 재량껏 선택 가능한 다양한 코딩이 있었다. 다행히, C와 C++는 아니다.
2017.09.13by 김자영 기자
제조업용 로봇과 로봇 부품, 스마트 제조, 3D 프린팅, 서비스용 로봇 등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2017 로보월드가 9월 13일부터 4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다. 25개국의 230개 회사가 참가한 이번 행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 로봇산업협회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주관했다. 올해 행사 주제는 ‘스마트 인더스트리, 스마트 라이프!'로 4차 산업 혁명시대의 스마트 팩토리 방향도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제조업 로봇관에는 한화 테크원과 두산 로보틱스가 각각 참가해 협동 로봇을 공개했다.
2017.09.13by 김지혜 기자
새롭게 공개된 ‘아이폰x’에는 얼굴 인식이 들어간다. 삼성도 갤럭시 노트7에 홍채 인식 기능을 탑재했다. 이제 지문인식은 스마트폰의 잠금을 푸는데 말고도 도어락에도 쓰인다. 자체 변형이 쉽고 위조가 쉽다는 단점이 있는 지문인식에 반해 홍채는 인체에서 가장 복잡하고 정교한 섬유조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인증 위조가 어렵고 양쪽 눈도 다른 무늬를 가지고 있어 신원을 확인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다. 이리언스는 홍채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제품을 개발, 제조하는 회사로 홍채 인식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출입통제기와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리언스의 홍채 인식 알고리즘은 홍채의 특징을 추출하는 프레임 속도가 빠르고 정확한 1:N 매칭을 할 수 있다. 홍채 색상과 무관하게 모든 홍채 정보 등록이 가능..
2017.09.13by 김지혜 기자
?SEMI 가 최근 발표한 세계 팹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반도체 팹 장비에 기록적인 투자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SEMI가 추적 조사한 296개 전공정(Front End) 설비 및 라인 가운데 30개 설비 및 라인이 팹 장비에 5억 달러 이상 지출을 보여준다. 2017년 (신규 및 리퍼비시) 팹 장비 지출은 37% 증가하여, 550억 달러로 새로운 연간 지출 기록을 달성할 전망이다. SEMI 세계 팹 전망은 또한 2018년에 팹 장비 지출이 또 다시 5% 증가하여 약 580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새로운 최고 기록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전 최고 지출액은 2011년에 기록된 약 400억 달러였다. 2017년 지출액은 이 금액보다 약 150억 달러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17.09.12by 김자영 기자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와 탑승자, 보행자의 안전과 직결되 신뢰성이 강조되는 분야다. 최소 10만 키로 미터 이상을 주행해야 하지만 실제 주행은 어렵다. 첨단운전자 지원시스템(ADAS)에서 실제와 가장 유사하게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HIL(Hardware-in-the-Loop) 테스트가 중요한 이유다. 특히 테슬라S의 사망 사고 이전까지는 레이더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이 이뤄지지 않았다. CAN통신을 활용해 브레이킹과 각 유닛이 제대로 작동하는 지 메시지 모사형으로 검사하는 오토파일러 기능이었다. 사고 이후, 실제 주행조건과 동일한 테스트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진 것.
2017.09.12by 김지혜 기자
“사이버 위험이 시스템교란이나 정보유출을 노리던 과거와 달리 금전을 목적으로 하는 랜섬웨어로 변화하고 있다” 스마트홈,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등 클라우드 서비스 보급에 따라 초연결 사회가 되면서 사이버 공격 대상이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었다. 12일 지디넷코리아가 주최한 제5회 시큐리티 넥스트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맡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기획 허성욱 과장은 “이제 사이버 위협은 민간기업 하나, 단일 부처, 한 국가 차원에서의 대응이 힘들어졌다”며 사이버 공격이 국가경제, 안보, 치안, 사회적 신뢰 등과 직결된다고 말했다.
2017.09.12by 김지혜 기자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2017년 2분기 전세계 반도체 제조장비 출하액을 141억 달러라고 발표했다. 2017년 2분기 출하액 141억 달러는 올해 1분기에 세운 기록인 131억 달러를 넘어섰다. 지난 1분기 출하액과 비교했을 때 8%가 증가했고, 지난해 2분기와 비교했을 때 35% 증가했다. 지역별 출하량을 보면 1분기와 거의 비슷한데, 이번에도 역시 세계에서 가장 큰 반도체 장비 시장은 한국이다. 한국은 지난 분기와 비교하여 36% 증가했고,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서는 212% 성장했다. 그 뒤를 대만과 중국이 순서대로 이었다. SEMI는 일본반도체장비협회(SEAJ)와 공동으로 95개의 글로벌 장비회사에서 월 단위로 취합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한다. 다음 표는 미국 달..
2017.09.11by 신윤오 기자
이러한 화려한 수식어가 따라붙은 산업의 주인공은 바로 ‘로봇’이다. 지난 10여 년간 정부에서 약 1조원을 투자했다는 로봇 산업의 현주소는 어디쯤에 와 있을까. 국내 로봇 산업을 담당하는 정부 관계자는 이를 간단히 설명했다. 103조원 시장을 형성하는 기계 산업에 올해 투자되는 지원금이 699억 원인데, 4조원 규모의 로봇산업에는 884억 원이 투자된다. 이는 올해의 경우만이 아니라 과거 10년 간 지속되어 온 투자 규모인데 그 결과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대형 쇼핑매장의 ‘안내 로봇’ 뿐이라는 자조 섞인 평가를 내놓았다.
2017.09.11by 신윤오 기자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첨단 공정 로드맵에 11나노 신규 공정(11LPP, Low Power Plus)을 추가했다. 11LPP는 검증된 14나노의 공정 안정성과 설계 환경을 기반으로 한 공정으로, 14LPP 공정과 동일한 소비전력에서 성능은 최대 15% 향상, 칩 면적은 최대 10%까지 줄일 수 있다고 업체 측은 밝혔다.또한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 EUV 기술을 적용한 7나노 공정을 '18년 하반기 생산 착수를 목표로 순조롭게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