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자동차
ST 0529
Murata 0605

전체기사 2,238건

  • 엔비디아, 사람 주행 방식 학습하는 인공지능 '파일럿넷' 발표

    엔비디아는 뉴럴 네트워크, 파일럿넷(PilotNet)이 인공지능 차량 내에서 어떻게 주행 의사 결정을 내리는 지에 관한 자료를 발표했다. 실제 주행 환경에서 주행 관련 변수의 범위는 무한대에 가깝기 때문에, 인공지능 차량 개발 시 자동차가 스스로 주행하도록 모든..

    2017.05.10by 김자영 기자

  • 온세미컨덕터, 배터리 필요 없는 무선센서로 꼭꼭 숨은 누수 찾아내

    온세미컨덕터가 RFMicron과의 협력을 통해 완벽한 인-라인 차량 생산 누설 감지 솔루션을 개발했다. 수분 침투 감지 시스템(RFM5126)은 배터리-프리, 무선 센서를 이용해 잘못 조립되어 발생되는 자동차 내의 누수를 감지한다. 이 시스템은 RFMicron의..

    2017.05.10by 김자영 기자

  • [기획-자율주행차④] 사용료 없는 WAVE 통신, 셀룰러와 함께 차량 통신 책임진다

    자율주행차가 제아무리 첨단 센서 기능을 장착한다고 해도 완전한 자율주행을 위해서는 주변 환경 정보가 있어야 돌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언덕을 넘을 때나 안개가 짙은 다리를 건널 때 센서와 카메라는 한계를 갖는다. 차량과 차량 사이의 통신(V2V)은 물론 차량과 사물..

    2017.05.08by 김자영 기자

  • [결정적 IT 장면] 인텔, 실리콘밸리 자율주행연구소 공개

    인텔이 자사의 첨단 차량 연구소(Advanced Vehicle Lab)를 공개했다. 이 연구소는 무인자동차와 미래 운송수단의 경계를 확장, 최신 연구개발에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됐다. 캘리포니아 주 산호세에서 열린 인텔 최초의 자율주행 워크샵을 통해..

    2017.05.08by 신윤오 기자

  • SK텔레콤 5G 커넥티드카, 글로벌 대표 협력 사례로 인정 받아

    SK텔레콤이 글로벌 기업 및 국내 스타트업들과 함께 세계 최초로 선보인 5G 커넥티드카 ‘T5’가 글로벌 협력의 대표 사례로 선정됐다. SK텔레콤은 세계 최초 5G 커넥티드카 ‘T5’가 3일(현지 시각)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텔레콤 아시아 어워드(..

    2017.05.04by 신윤오 기자

  • 엔비디아, 자율주행차의 모든 것 ‘GTC2017’에서 만나보세요

    엔비디아가 미국 현지시간으로 5월 8일부터 11일까지 실리콘밸리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GPU 개발자 컨퍼런스 ‘GTC 2017 (GPU Technology Conference 2017)’에 다양한 자율주행차 관련 세션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올해 GTC에서는 컨..

    2017.05.02by 김지혜 기자

  • [IR현장을 가다] 어떤 스타트업이 투자 받는가 봤더니

    날카로운 엔젤투자자와 엑셀러레이터, 개인투자자 앞에 6개의 기업이 섰다. 이들은 앞서 40여 개의 쟁쟁한 회사를 제치고 펀딩에 성공한 기업들이다. 이들 기업의 분야도 다양하다. 핀테크부터 수제 자동차, 파력발전 등 다양한 분야의 매력을 뽐냈다. 그리고 ‘억’ 소리 났..

    2017.05.01by 김자영 기자

  • ARM, 정확하게 보고 안전하게 운전하는 영상처리장치 출시

    ARM은 Mali Camera 제품군의 첫 제품인 ARM Mali-C71 영상 처리장치(ISP)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신규 Mali-C71 프로세서는 ADAS용 SoC를 위해 설계되었다. 자율주행 기술이 발달하며 ADAS 애플리케이션으로 차량 미러 대체, 졸음 ..

    2017.04.25by 김자영 기자

  • [인터뷰] “단순 통신 장애에도 생명 위협하는 차량 통신, 정확한 테스트로 바로 잡으세요”

    운전 중 사고가 났다면, 119에 연락한다. 운전 중 사고 장면을 목격해도, 119에 연락한다. 당연한 수순이다. 연락한 후에는 어떨까. “서울에서 동해로 넘어가는 15번 도로 3차선에서 3중 추돌사고가 난 SUV차량입니다.”라고 정확히 신고하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2017.04.25by 김자영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