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DABO0722
Microchip 0724

전체기사 2,711건

  • ​"2년 3개월 만에 단독" KT, 5G SA 서비스 시작

    5G 단독모드(SA)는 5G망만 단독 사용해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현재 서비스 중인 비단독모드(NSA)에 비해 단말의 배터리 사용 시간이 길고, 반응속도가 빠르다. KT는 15일부터 5G SA 상용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우선 삼성 갤럭시S20, S20..

    2021.07.15by 이수민 기자

  • LG유플러스, 여수광양항 스마트항만 구축 MOU 체결

    LG유플러스, 여수광양항만공사, 광양항서부컨테이너터미널, 전라남도청이 여수광양항에 5G MEC 원격제어 크레인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연내 여수광양항 컨테이너 운반용 크레인(RTGC) 2대에 MEC와 저지연 영상전송 솔루션을 적용하여, 현장에서..

    2021.07.14by 명세환 기자

  • 울산지역 석유화학단지, U+ 스마트팩토리 도입한다

    LG유플러스와 한국산업단지공단 울산지역본부는 울산지역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와 산단 내 5G MEC 적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MEC란 분산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데이터센터를 서비스 현장에 가깝게 배치하고, 5G의 초저지연 특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이번 협력은 ..

    2021.07.12by 이수민 기자

  • '21年上, 수출 역대 최대 "차량·가전 등 상승세 견인"

    올해 상반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1% 증가한 3,032.4억 달러로 나타났다. 주요 교역국 경기회복세 강화, IT 및 신산업 수요 확대, 국제유가 상승 등 교역 여건 개선으로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4개월은 월 수출액 500억 달러 돌..

    2021.07.05by 이수민 기자

  • 이통3사 5G 기지국 로밍 모델, 5G 망 확대로 이어지나

    과기정통부와 이통3사가 GSMA 글로벌 모바일 어워드에서 5G 산업 파트너십 상을 받았다. 농어촌 5G 공동이용은 정부와 통신기업들이 협력해 특정 지역에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한 세계 최초, 최대 규모 협업 모델로, 주요 도심을 제외하면 도달 범위가 턱없이 모자란 5G ..

    2021.07.02by 이수민 기자

  • ​키사이트, 휴대용 필드폭스 마이크로파 분석기 출시

    mmWave 분야에서 5G NR 서비스와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 배치가 늘면서 효율적인 현장 전용 네트워크 테스트, 모니터링 및 문제 해결 도구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키사이트는 5G, 레이더, 위성 통신 시스템 구축을 가속하는 휴대용 ‘필드폭스’ 마이크로파..

    2021.06.30by 강정규 기자

  • ETRI, 6G 핵심기술 개발사업 주관기관 선정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 삼성전자, 카이스트 등 37개 공동연구기관이 참여하는 ‘6G 핵심기술개발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연구진은 6G 연구사업을 크게 5대 중점분야로 나눈 뒤, 분야별 총 8대 전략과제를 기관들이 나누어 진행한다. ..

    2021.06.24by 배종인 기자

  • 과기정통부, 6G 기술 선점에 2025년까지 2,200억 투자

    6G 기술은 디지털 전환, 미래 산업의 기반이 되는 기술로, 국제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선제적 기술개발 착수와 표준 선점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한·미 정상회담 후속으로 민?관 합동 6G 전략 회의를 개최하고 6G R&D 실행계획을 수립했다. 계획에는 ..

    2021.06.24by 이수민 기자

  • 유블럭스, ZED-F9R 위치추적 모듈 개선판 공개

    유블럭스는 전동 스쿠터, 공유 자전거 같은 저속 애플리케이션에 cm 수준의 위치추적 정확도를 제공하는 ‘ZED-F9R’ 위치추적 모듈의 펌웨어 업데이트 버전, ‘ZED-F9R-02B’를 발표했다. 새로운 모듈은 까다로운 신호 환경에서 정확한 위치추적 데이터를 요구하는 ..

    2021.06.23by 명세환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