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통신
Murata 0605
Infineon 0617

전체기사 2,695건

  • IIoT 솔루션의 보안 강화와 TCO 최적화 동시 구현하기

    IIoT 애플리케이션이 신뢰할 수 있는 IoT 시스템에서 보안이 강화된 IoT 시스템으로 진화 중이다. 보안이 강화된 IoT 솔루션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심지어 IoT 클라우드 서비스를 포함하는, 수많은 개별 요소들로 구성된다. 적합한 하드웨어를 선택하면 BOM을 ..

    2021.03.28by 이수민 기자

  • ADI, 5G O-RAN 장비 최적화 위한 RF 플랫폼 발표

    ADI가 O-RAN 호환 5G 무선 장치용 ASIC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플랫폼, 라디오버스를 발표했다. 해당 플랫폼은 베이스밴드 ASIC, 소프트웨어 정의 트랜시버, 신호 처리, 전원장치 등 O-RAN 호환 5G 무선 장치에 필요한 기능들을 통합하고 있다. 또한, 성..

    2021.03.26by 이수민 기자

  • 방대한 IoT 데이터 처리, 리티 알고리즘 시스템 필요

    IoT 기술의 발달로 기업과 기관은 기존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수십에서 수백만의 IoT 노드가 지속해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일은 쉽지 않다. 조직은 높은 효율과 빠른 응답을 구현하기 위해서 자동화된 의사결정 프로..

    2021.03.25by 이수민 기자

  • 5G 산업생태계 구축 목표로 중장기 정책협의체 발족

    과기정통부가 5G+ 융합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5G+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 발족 회의를 가졌다. 해당 정책협의체는 2021년도 5G+ 추진계획에 따라, 5G+ 산업생태계 글로벌 선도를 위해 구성됐다. 5G+ 관련 민·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협의체는 이날 발족한 산..

    2021.03.25by 강정규 기자

  • LG전자-키사이트-KAIST, 6G 이통통신 기술 개발 협력

    6G 기술은, 초당 최대 1Tbps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 만물 지능 인터넷(AIoE)을 가능하게 할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LG전자,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 한국과학기술원은 2025년 표준화와 2029년 상용화가 전망되는 6G 기술의 시장 지배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기술..

    2021.03.23by 이수민 기자

  • 마이크로칩, 사이버 위협 막는 타임 서버 솔루션 발표

    타임 서버는 대체로 사이버 위협에 취약하다. 이에 마이크로칩이 자사의 ‘싱크서버 S600 시리즈’ 타임 서버에 블루스카이 신호 이상 감지 소프트웨어를 추가하는 ‘싱크서버 v4.1 소프트웨어 릴리즈’를 발표했다. 해당 릴리즈를 적용하면 재밍과 스푸핑 탐지 기능을 통해 신..

    2021.03.23by 이수민 기자

  • 무르익은 IoT 플랫폼 기술들, 일상과 업무의 디지털 전환 이끈다

    인터넷 연결로 자사 제품의 기능을 높이고, 기존에는 없었던 서비스를 창출하여 비즈니스 모델의 다각화를 시도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여기에 첫발을 내디딘 것은 IT 기업들이며, 제조 기업들 역시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 중심에는 IoT 플랫폼이 있다. IoT 플랫폼이..

    2021.03.22by 이수민 기자

  • "텔코에서 디지코로" KT, 대내외적 DX 역량 강화 나서

    텔코에서 디지코로의 전환을 선언한 KT가 기업 내외부적으로 DX 역량을 확장하고 있다. KT는 ABC(AI, Big data, Cloud) 및 네트워크 운영 분야 신규 인력 300명 채용과 함께, ABC 분야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KT 클..

    2021.03.20by 이수민 기자

  • 마이크로칩, 'SW 이중화' 타이밍 그랜드마스터 발표

    마이크로칩이 정밀 타이밍과 동기화를 상시 보장하는 IEEE 1588 정밀 타이밍 그랜드마스터, ‘타임프로바이더 4100 그랜드마스터 2.2 버전’을 출시했다. 신규 솔루션은 다중 대역 GNSS 수신기를 지원하며, 강화된 보안과 이중화 아키텍처 도입으로 높은 복원력을 제..

    2021.03.19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