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ST 0529
Murata 0605

전체기사 2,695건

  • 유블럭스, 단일 모듈로 와이파이/블루투스 동시 연결

    2.4GHz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제품이 증가하면서 엔지니어는 개발하려는 제품이 혼잡한 통신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해야 한다는 과제에 직면했다. 이에 유블럭스가 NXP의 IW416 SoC 기반의 MAYA-W1 와이파이4 및 블루투스5 멀티라디오 모듈을 공개했다..

    2021.03.17by 이수민 기자

  • 키사이트, 원격 교육 지원하는 'SBE' 통합 계측기 출시

    키사이트가 삼중 출력 전원 공급기, 임의 함수 발생기, 디지털 멀티 미터, 오실로스코프로 구성된 '스마트 벤치 에센셜(SBE)'을 출시했다. 새로운 장비는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연결 방식을 채택하여, 통합된 데이터 관리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2021.03.17by 명세환 기자

  • 5G B2B BM 발굴, 자동화 산업의 통신 요구사항 파악부터 시작

    각국의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사업 모델을 B2C에서 B2B 분야로 확장하기 위해 노력했고, 5G 기술은 URLLC 특성을 갖고 있어 산업용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5G 기술이 적용될 산업 분야로는 스마트팩토리, 에너지, 메디컬 등이 꼽히고 있다. 모든 산업의 자동화 시..

    2021.03.15by 이수민 기자

  • 유선의 반값인 5G 기반 스마트배전진단 상용화 첫발

    LG유플러스와 LS일렉트릭이 5G 기반 스마트배전진단 솔루션을 공동개발했다. 해당 솔루션은 공장·건물 전기실 내 특고압 및 저압 배전반에 각종 센서를 설치해 데이터수집장치로 취득하고 분석한 데이터를 무선망으로 관제센터에 전송하여 각 배전반을 실시간 점검한다. 양사는 해..

    2021.03.15by 이수민 기자

  • "10BASE-T1L 이더넷 PHY" 산업용 통신 확장성 키웠다

    그동안 산업계에서 이더넷은 200m라는 상대적으로 짧은 통신 거리 탓에 공장 내에서의 공정 자동화에 활용이 국한됐다. 그러나 지난 2019년 11월에 IEEE가 10BASE-T1L 이더넷 PHY 표준을 승인하며 흐름이 바뀌었다. 기존 인프라에 쉽게 추가할 수 있는 해당..

    2021.03.15by 이수민 기자

  • SKT-카카오, 'AI-ESG-IP' 분야 상호 협력·개방 본격화

    SK텔레콤과 카카오가 AI(인공지능),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IP(지식재산권)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고, 주요 자산을 사회와 나누기로 했다. 양사는 2019년에 3,000억 원 규모의 지분을 교환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후, 각사 대표 임원이 참석하는 ..

    2021.03.14by 명세환 기자

  • "5G, 초고속 될까?" 28㎓ 5G 장비·단말 활성화 TF 발족

    28㎓ 5G 이동통신 구축 활성화 TF 발족 회의가 열렸다. 이번 TF에는 기존 농어촌 5G 통신망 로밍 TF에 참여했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통 3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가 그대로 참여한다. 또한, 삼성전자, 한국지능정보사회진..

    2021.03.13by 강정규 기자

  • ​KT, '도청 방지' 비화 통신 강화하는 양자암호 기술 선봬

    KT와 EYL은 전용 단말을 사용하지 않고도 양자암호 비화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해당 기술을 적용하면 일반 스마트폰으로 비화 통신이 가능하여 민간 기업에서도 양자암호 비화 통신 시스템을 쉽게 구축할 수 있다. 양사는 양자난수 생성기(QRNG)와 양자..

    2021.03.11by 이수민 기자

  • 힐셔 cifX M.2 PC 카드, PROFIBUS-DP 프로토콜 지원

    필드버스 기반의 PROFIBUS-DP 프로토콜은 공장 자동화 분야에서 여전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실시간 이더넷 기반 프로토콜의 약진에도 2019년에만 190만 개에 이르는 새로운 노드가 설치됐다. 이에 힐셔는 자사의 cifX PC 카드에서 PROFIBUS-D..

    2021.03.11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