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ST 0529
Infineon 0617

전체기사 2,695건

  • 유블럭스, LPWA·GNSS 기능 통합한 셀룰러 모듈 출시

    유블럭스가 LPWA 및 GNSS 기술을 14×14mm SiP 폼 팩터에 통합한 소형 셀룰러 모듈, ALEX-R5를 출시했다. ALEX-R5는 즉시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 보안 기능과 위치 정확도가 높은 유블럭스 M8 GNSS 칩, 보안이 강화된 UBX-R5 LTE-M/N..

    2021.01.27by 이수민 기자

  • 로옴, 스마트 시티용 Wi-SUN FAN 모듈 솔루션 공급

    로옴이 스마트 시티 및 그리드 실현에 필요한 대규모 메시 네트워크 구축에 적합한, Wi-SUN FAN 대응 모듈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Wi-SUN FAN은 국제 무선 통신 규격인 Wi-SUN의 최신 규격으로, 다른 LPWA와 달리 통신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멀..

    2021.01.27by 이수민 기자

  • 포티넷, WAN 에지 보호용 ASIC 탑재한 방화벽 발표

    포티넷코리아가 SD-WAN ASIC 기반의 차세대 방화벽인 포티게이트 200F 시리즈를 발표했다. 새로운 방화벽은 WAN 에지의 성능을 가속하기 위해 구축된 포티넷 SD-WAN ASIC의 최신 버전(SOC4)을 기반으로 하는 포티게이트(FortiGate) 어플라이언스다..

    2021.01.26by 강정규 기자

  • KT 양자암호통신 인터페이스 기술, TTA 표준 채택

    KT가 TTA에 제안한 이종 양자키 분배(QKD) 장치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관리 모델이 양자암호통신 관련 국내 표준안으로 최종 채택됐다. 해당 모델은 QKD 네트워크 장치 간 상호 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관리 모델은 양자암호 키를 분배하는 장치와 관..

    2021.01.26by 이수민 기자

  • 반도체 기업 거래, 지난해 역대 최대 "차세대 반도체 경쟁, 합쳐야 이긴다"

    2020년 반도체 분야 기업 거래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및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미래 준비에 나서는 반도체 업계 투자가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빠른 시장 변화로 차세대 반도체 수요도 함께 늘고 있다. 차세대 반도체 시장..

    2021.01.25by 이수민 기자

  • LG이노텍, 정확도 높인 차량용 디지털 키 모듈 개발

    디지털 키 모듈은 차량에 탑재해 자동차와 스마트폰 간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부품으로, 스마트폰으로 차 문을 열고 잠그거나, 시동을 걸 수 있는 차세대 자동차 키다. LG이노텍은 위치 인식 정확도와 보안성을 높인 차량용 ‘디지털 키(Digital Ke..

    2021.01.25by 명세환 기자

  • U+, 기업용 광 전송 백본망 구축 "비대면 시대 대응"

    LG유플러스가 최신 광 전송 기술 기반의 기업 전용 전국 백본망을 새로 구축했다. 유플러스는 이를 위해 美시 에나 사의 차세대 광 전송 장비인 ROADM을 도입하고, 전국 28개 주요 도시를 직접 상호 연결하는 그물망 방식으로 구축하여, 저지연과 경로 다원화를 달성, ..

    2021.01.24by 이수민 기자

  • 삼성전자, 5G 이동통신 장비 국제 보안 인증 CC 획득

    삼성전자가 5G 이동통신 장비에 대해 국제 공통평가기준(CC) 인증을 획득했다. CC 인증은 IT 제품의 보안성을 평가하는 ISO 15408 국제 기준으로, 세계 각국에서 관리하는 보안성 평가 기준 중 공통적인 평가 항목에 대한 충족 여부를 검증해 획득할 수 있다.

    2021.01.22by 이수민 기자

  • TI, EV 주행 거리 늘릴 ASIL-D 무선 BMS 솔루션 선봬

    텍사스 인스트루먼트가 TUV SUD가 인증한 기능 안전 콘셉트가 적용된 무선 BMS 솔루션을 발표했다. ISO 26262 ASIL D 인증을 받은 TI 무선 BMS 솔루션은 최신 무선 프로토콜에 높은 네트워크 가용성을 결합하여 차량의 전체 무게와 유지보수비용을 늘리는 ..

    2021.01.21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