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st 0710
Microchip 0724

전체기사 2,711건

  • IoT 솔루션을 인터넷에 연결할 때 필요한 6가지 기술

    IoT 솔루션은 수백 개에서 수천 개에 이르는 커넥티드 에지 디바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용이나 전력 관리 등 일반적인 설계상의 제약도 가중된다. 이 정도 규모에 이르게 되면 인터넷 연결 방식 자체가 해당 제품의 성패 여부를 결정지을 수 있다.

    2020.07.17by 이수민 기자

  • ST, IoT 노드 개발 과정 간소화하는 개발 킷 공개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IoT 노드 개발 과정을 간소화하는 STM32 디스커버리 킷 B-L4S5I-IOT01A를 출시했다. 해당 키트는 품질 인증을 받은 FreeRTOS 포트를 지원하고, STM32Cube 에코시스템에 완벽하게 통합되며, AWS에 바로 연결할 수 있다..

    2020.07.17by 강정규 기자

  • SKT-한국수자원공사, IoT 기반 스마트 물관리에 맞손

    SK텔레콤과 한국수자원공사가 스마트 상수도 운영관리 사업 협력 및 수도 데이터 기반의 물 복지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스마트 상수도 관리를 위한 IoT 인프라 지원, 수자원 관리시스템 고도화, 데이터를 활용한 사회적 약자 돌봄 실증 ..

    2020.07.16by 이수민 기자

  • 삼성전자,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담은 '6G 백서' 공개

    삼성전자가 6G 백서를 공개했다. 백서는 6G 기술의 발전을 불러올 큰 흐름과 함께 6G의 비전, 서비스와 요구사항, 이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후보 기술, 표준화 일정 등을 다루고 있다. 또한, 6G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성능, 구조, 신뢰성 세 가지로 구..

    2020.07.16by 강정규 기자

  • 힐셔, M.2 포맷의 'cifX' 다중 프로토콜 PC 카드 출시

    힐셔는 15일, M.2 2230 포맷의 cifX 소형 다중 프로토콜 PC 카드를 정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실시간 이더넷 및 필드버스 프로토콜을 위한 M.2 2230 Key A+E 포맷의 cifX 카드는 기존 혹은 신규 장치를 산업용 자동화 네트워크와 즉시 연결해주는 기..

    2020.07.16by 이수민 기자

  • 2022년 상반기까지 5G 전국망 구축에 25조 투입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과 이통3사 대표는 정부서울청사에서 2022년까지 5G 전국망 구축을 위한 긴급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를 통해 이통3사와 SK브로드밴드는 2022년까지 유무선 통신인프라 등에 약 24.5조에서 25.7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2020.07.15by 이수민 기자

  • KT, 기업용 5G 망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술 적용 성공

    KT가 5G 기업 망 슬라이스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상용 서비스로 출시하기 위한 기술 검증을 마쳤다고 밝혔다. 5G 기업 망 슬라이스는 하나의 물리적 5G 네트워크를 독립된 다수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해 이를 필요에 맞게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5G 핵심 기술인 네트워크 ..

    2020.07.15by 강정규 기자

  • 28GHz 대역 5G 휴대전화 출시 기간 단축된다는데... "효과는 있을까?"

    28GHz 5G 휴대전화의 출시 전 전자파 측정시간이 LTE 휴대전화 수준으로 단축된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28GHz와 3.5GHz 5G 휴대전화의 신제품 출시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정말일까? 적어도 올해 안에는 이번 간소화에 득을 볼 휴대전화는 없을..

    2020.07.14by 이수민 기자

  • 3개월 만에 전년 동월 대비 ICT 수출액, 증가세로 전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한민국의 6월 ICT 수출이 149.6억 달러, 수입이 89.6억 달러를 기록하며 무역수지가 59.9억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 증가하며 지난 4월 이후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다만, 하루평..

    2020.07.14by 명세환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