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 5월 배너
AI
Infineon 0617
ST 0529

전체기사 1,821건

  • KT-그린카 “인공지능 카셰어링 서비스 개발”

    ‘기가지니’ 출시 1년 2개월 만에 가입자 70만을 확보한 KT가 카셰어링 서비스에도 AI 기술을 접목한다. 이르면 올해 상반기 안에 기가지니에서 카셰어링 예약을 할 수 있게 된다. KT는 그린카와 ‘인공지능 카셰어링 서비스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

    2018.04.02by 김학준 기자

  • 매스웍스, 인공지능 모델 개발 위해 매트랩과 엔비디아 텐서RT의 통합

    매스웍스는 GPU 코더(GPU Coder)를 통해 매트랩(MATLAB)과 엔비디아(NVIDIA) 텐서RT(TensorRT)를 통합한다고 발표했다. 양사의 협력으로 엔지니어 및 과학자들은 데이터 센터, 임베디드 및 자동차 응용 프로그램 분야의 점차 증가하는 수요를..

    2018.03.30by 김지혜 기자

  • 엔비디아, 딥 러닝 컴퓨팅 플랫폼의 성능 6개월 만에 10배 향상

    엔비디아는 GTC 2018에서 자사의 딥 러닝 컴퓨팅 플랫폼에 대한 성능 개선 사항을 연이어 공개하며 딥 러닝 워크로드 면에서 6개월 만에 이전 세대 대비 10배의 성능 개선을 이뤄냈다고 발표했다. 엔비디아 플랫폼의 핵심 개선 사항은 데이터센터 GPU인 엔비디아..

    2018.03.29by 김학준 기자

  • 테라데이타, 딥 러닝 및 AI 성과 가속화 한다

    테라데이타는 ‘씽크빅 애널리틱스 컨설팅 그룹’이 엔비디아 서비스 딜리버리 파트너 프로그램에 합류했다고 밝혔다. 프로그램 ‘씽크빅 애널리틱스’는 엔비디아와 협력하여 기업용 딥 러닝을 최적화하고 시장 진출 전략을 조율함으로써 고객들이 AI 전략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2018.03.29by 김학준 기자

  • 엔비디아, 자율로봇의 개발을 가속화 할 아이작 SDK 공개

    엔비디아는 로봇 애플리케이션의 구축을 위한 아이작(Isaac) 플랫폼의 확대를 발표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로봇의 개발 및 배치를 가속화해 나가고자 하는 움직임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엔비디아의 창립자 겸 CEO인 젠슨 황(Jensen Huang)은 GPU 테크놀..

    2018.03.29by 김지혜 기자

  • 제네시스, 알토클라우드와 인공지능 기반 머신러닝 강화

    제네시스는 알토클라우드를 인수했다. 이를 통해 자사 제품군에 알토클라우드 솔루션을 추가함으로써 AI와 머신러닝 역량을 강화하게 되었다. 제네시스는 기업들이 마케팅부터 세일즈 및 서비스를 아우르는 고객 여정 전반에 걸쳐 신속한 반응과 예측성 및 맞춤형 고객 경험을 제공할..

    2018.03.29by 김학준 기자

  • AI가 물건 찾아주는 무인점포는 어떤 모습일까?

    마트의 셀프 계산대, 패스트푸드점의 셀프 주문이 점점 늘고 있다. 이제는 편의점도 무인점포가 생겨나고 있다. 센서와 카메라, 인공지능(AI)을 통해 점포 운영 효율성을 증가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아직은 보안의 취약성 때문에 무인점포는 시범 운영 단계에 잇지만, ..

    2018.03.26by 김지혜 기자

  • 코그넥스, 사람의 시선으로 불량품 검출하는 ‘비디 스위트’ 선보여

    코그넥스는 딥러닝 기반의 머신 비전 소프트웨어 ‘코그넥스 비디 스위트’를 출시했다. 기존 머신 비전 기술이 하지 못한 비정형적인 패턴에서의 불량 검출, 변형이 많은 패턴 인식 등을 보완했다. 이를 통해 국내 비전 시장을 공략하겠다고 밝혔다. 머신비전은 영상 내 ..

    2018.03.26by 김학준 기자

  • 코그넥스 ‘오토메이션 월드 2018’ 참가

    코그넥스는 3월 28일 열리는 ‘오토메이션월드 2018(Automation World 2018)’에 ‘비전의 미래’라는 주제로 참가한다고 밝혔다. 코그넥스는 딥 러닝 기술을 이용한 머신비전 솔루션 ‘코그넥스 비디 스위트’, 빈픽킹(Bin-picking)을 가능하..

    2018.03.26by 김학준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