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 및 장비
ST4/29_Webinar
ADI_0422

전체기사 1,154건

  • 기계연, 수소 기술 미래 전망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 원장 박상진)이 글로벌 수소 전문가들을 초청해 수소 기술의 미래를 전망하고, 인사이트를 나눴다.

    2021.09.09by 배종인 기자

  • 재료연, 반도체 접합 소재·기술 100% 국산화 추진

    한국재료연구원 등 6기관이 반도체소자 접합공정용 소재 및 기술 100% 국산화 추진에 나선다.

    2021.09.08by 배종인 기자

  • LG화학, ‘리얼 폴딩 윈도우’로 폴더블 공략 본격화

    LG화학이 새로운 소재 기술과 축적된 코팅 기술을 활용해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하고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2021.09.07by 배종인 기자

  • ​UNIST, 압력으로 전고체 전지 내부 진단하는 기술 개발

    전지의 수명을 줄이는 부반응을 파악하는 비파괴 진단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 교수팀은 압력 변화를 분석해 황화물 전고체 전지 내 2차상과 수지상 물질 생성 반응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전고체 전지는 내부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바꿔 폭..

    2021.09.07by 이수민 기자

  • 재료연·현대重·부산대, 탄소중립 ‘맞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KIMS, 원장 이정환)이 ㈜현대중공업 엔진기계사업부(사업대표 안광헌) 및 부산대학교(총장 차정인)와 함께 그린수소를 중심으로 한 탄소중립 시대 실현에 나선다.

    2021.09.07by 배종인 기자

  • [인사]한국전기연구원(KERI)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전기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KERI, 원장 명성호)이 2021년 9월6일부로 센터장 및 실장급 인사를 실시했다.

    2021.09.06by 편집부

  • ​생기원, 高 평탄도 반도체 구리 도금액 첫 국산화 성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고평탄도의 반도체용 구리 도금액 원천기술을 독자 개발하고, 기술이전 기업과 함께 제품을 출시해 첫 국산화를 이뤄냈다. 구리 도금액은 웨이퍼 위 회로 패턴을 구리로 도금해 해당 부분만 전기적 특성을 띠게 하는 범핑 공정에 주로 사용된다. 일본, 미국으..

    2021.09.03by 이수민 기자

  • 전기연구원, 배터리 음극재 기술 11억 기술이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실리콘 단점을 그래핀으로 보완한 배터리 음극재 대량 제조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11억원에 기술이전하는 쾌거를 거뒀다.

    2021.08.30by 배종인 기자

  • KIST, 차세대 반도체 소재 상태 규명하는 ML 모델 제시

    차세대 반도체를 개발하는 스핀트로닉스 분야는 최적화 문제 해결이 중요하다. 소재인 나노 자석의 상태 규명과 특성 파악을 정확히 못하면, 스핀 소자의 정확한 동작 특성과 범위를 설계할 수 없다. KIST 스핀융합연구단 권희영, 최준우 박사, 경희대학교 원창연 교수 연구팀..

    2021.08.27by 이수민 기자

인터넷신문위원회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