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관련 뉴스나 관련 회사들의 키워드를 소재로 배우는 IT ENGLISH. 오늘은 레이더 칩을 만드는 Infineon 사의 자율주행 차량에 들어가는 레이더 칩을 소재로 간단한 영어회화표현을 익혀보도록 하겠습니다. 올해 신차 15대 중에 1대가 이 회사의 77GHz 레이더 칩이 장착되어질 것이라 합니다. 여러분의 친근한 소재가 표현을 익히고 활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오늘의 표현은 "Around one in ~ : ~중에 하나" 입니다. 쉽죠? 하지만 막상 회화에서는 적용되기 어려웠던 표현들을 짧은 대화를 통해서 알찬 표현 익혀가세요~
A : You know what? Around one in 15 new cars (around:대략, one in ~ : ~ 중에 하나,)in this year uses radar chips from Infineon,co for driver assistance. That's big news, isn't it?
B:Yes, I've read it(have p.p : (과거에 이미)~ 했다.) from the "e4ds newsletter". It's amazing! I really look forward to(look forward to~명사(~ing) : 기대하다, 학수고대하다) a new car with them.
A : Ummmmmm......
But, depending on(depend on ~ : ~에 달려있다, ~에 의존한다.) a vehicle’s category and how it’s equipped, it will have between one and three radar systems.
B : Then, when can I ride an amazing automated driving car?
A : Maybe...around 2020. According to the article, in the autonomous vehicle, which the automobile industry expects to be available from around 2020, at least ten radar systems may be installed.
B : Wow~ I am really excited about it!!
A : 그거 알아? 올해 생산되는 차중에서 15대 중에 1대가 운전 지원시스템 때문에 인피니언 레이더 칩으로 한다고 하네? 완전 대박이지?~
B : 어~ 알어 e4ds신문에서 읽었어~ 진짜 대단하다. 어떤 차가 나올지.. ㅋㅋㅋ기대되~
A : 음.. 근데 차종이나 어떻게 기능을 갖추느냐에 따라서 1개에서 3개정도 레이더 시스템이 들어간다네?
B : 그러면, 언제 멋진 자율주행차를 탈 수 있는 거야?~
A : 아마도 2020년쯤일 꺼야~기사를 보니깐 자동차 산업에서 자율 주행차는 2020년쯤에 가능해지고, 적어도 10개의 레이더시스템이 장착되어 나올꺼래~
B : 아~ 완전 기대된다!!!
구문익히기
Around one in 15 new cars
: ~ 중에 한 개 또는 하나 라고 표현을 해야 할 때 "one of~"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또 다른 표현을 익혀서 사용해보도록 하자
"in"라는 전치사는 “~안에”라는 의미다. 대표적으로 알고 있는 ~안에 라는 의미는 장소를 의미 할 때의 표현으로 익숙한데, 그 외에도 “(부분이나 전체를 가리키는 것 앞에 쓰여) … (중)에[에서]” 라고 위와 같이 표현하는 경우도 있으니 학습해두자.
I've read it
: Have P.p는 현재완료 표현으로 이미 과거에 벌어진 일을 표현하거나, 경험, 결과, 완료 등의 상태를 나타낼 때 쓰이는 표현이다. 실제로 회화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표현 중에 하나인데, 표현 방법을 모르기보단 사용할 때가 언제인지를 몰라서 표현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나는 ~해본 적이 있다(I've p.p~) 가, “그녀는 이미 떠났어(She has already gone)”라든가의 표현 등을 하고자 할 때, 주로 쓰인다. 3인칭 단수형으로는 Has P.p이며, 특히 “그 분이 ~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습니까?(has he heard of~?)” 라는 가, “그녀는 이미 ~를 만났다 (She has already met ~)”으로 표현한다.
I really look forward to
: 보통은 Be looking forward to~의 표현으로 진행형으로 강조해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이 표현은 “기대된다.” 무언가를 기다리며, 긍정적인 대화내용에서 사용된다. 부정적인 상황을 기대한다는 표현으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목이 빠지게 기대한다”는 뜻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긍정적인 표현이지요?~
depending on
: depend(의존하다)는 전치사 on과 함께 쓰여 “~에 의존하다”라고 표현이 되는데 동사로 쓰이는 경우가 아니라, script의 표현처럼 depending on~은 문장 서두에 “~에 의존하여”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이 되며, 한국어 표현은 같은 의미를 가지는 표현이 다양해서 이를 사용하는 상황을 익혀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당신에 의해서(결정 됨을 표현하고자 할 때)’ 라는 표현이나, ‘대중에 기호에 따라서’,‘종류 따라서~ (depending on the type,~)’등의 표현을 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면, 매끄러운 대화를 이끌어 갈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