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데이터 활용과 코로나19 이후의 경제 활성화에 있어 클라우드가 핵심 기반으로 주목받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경제와 AI 시대를 대비한 클라우드 산업 발전전략을 심의하고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국가 클라우드 대전환과 클라우드 산업 생태계 강화를 핵심 목표로,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하기로 했다.
공공부문에 클라우드 전면 도입된다
중소기업 클라우드 도입에 최대 2천 만 지원
클라우드 인프라 기업 중심으로 협업 생태계 구축
국내 클라우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공공에서 국산 클라우드를 도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제16차 4차산업혁명위원회 회의에서 ‘데이터 경제와 AI 시대를 대비한 클라우드 산업 발전전략’을 심의하고 확정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뉴딜의 핵심과제 중 하나인 ‘데이터·AI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의 수집·축적·활용이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설계되는 등 AI 시대의 데이터 활용과 코로나19 이후의 경제 활성화에 있어 클라우드는 핵심 기반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국가 클라우드 대전환’과 ‘클라우드 산업 생태계 강화’를 핵심 목표로 정하고,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전략을 마련하여 추진하기로 했다.
발전전략의 중점추진 과제는 크게 4가지다.
▲ 클라우드 산업 발전 전략 비전 및 목표 [그림=과기정통부]
첫 번째는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전면 전환이다.
신규로 도입하거나 사용 가능 햇수가 만료된 시스템부터 단계적으로 클라우드로 전환하되, 민간의 최신 클라우드 기술이 활용될 수 있도록 기관별 컨설팅과 선도사업 등을 병행 추진한다.
국가가 시행하는 빅데이터 분석이나 AI 활용을 통한 기업지원 사업에도 클라우드 기업이 참여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두 번째는 공공부문에 대한 민간의 클라우드 조달체계 혁신이다.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 이외에 AI, IoT, 블록체인 등 신기술과 클라우드가 융합된 서비스를 모두 포함하는 디지털 서비스 개념을 도입한다.
디지털 서비스에 대해서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공고-입찰-계약 방식이 아닌,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신속하게 검색-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마련한다.
디지털 서비스 관련 업무를 맡는 관계부처와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디지털 서비스 전문위원회’에 의해 선정된 디지털 서비스에 대해서는 금액 제한이 없는 수의계약을 허용한다.
세 번째는 중소기업 클라우드 지원 규모의 확대다.
기존 기업당 최대 3백만 원을 지원하던 ‘중소기업 클라우드 이용료 지원 사업’을 기업당 최대 2천만 원을 지원하는 ‘바우처 사업’으로 확대하여 컨설팅, 전환지원, 이용료를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네 번째는 클라우드 플래그십 사업의 추진이다.
현재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은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과 협업하여 수천 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협업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클라우드 인프라 기업을 중심으로 다수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으로 구성된 선단형 기업군이 협력하여 산업 분야별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올해 안에 5개 분야를 우선 선정하고 분야별로 50억을 지원하며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선단형 기업군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산업 협력 생태계가 형성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발전전략에는 이외에도 공공부문의 민간클라우드 도입환경 개선, 기업 간 협업체계 구축 등 다양한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 전략의 추진으로 클라우드 매출이 500억 원 이상인 기업이 2019년 5개에서 2023년에는 10개 이상으로 늘어나고, 10인 이상 사업체의 클라우드 도입률도 22.7%에서 40%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