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버설 로봇 전략 및 혁신담당 부사장 안더스 벡이 △턴키 솔루션(Turn-Key Solutions) △모듈형 생산으로의 전환 △다양한 협동로봇의 등장 △로봇 수요의 확대 △고객 중심 제품개발 등 5가지를 꼽았다.
▲유니버설 로봇 'UR20'
모듈형 생산‧협동로봇 확대 등 5가지 전망
협동로봇 수요 증가...로봇의 일상화 지속
협동 로봇은 포장, 팔레타이징, 용접 및 조립 등 응용 분야에 적용돼 인더스트리 5.0(Industry 5.0)을 촉진하고 있다. 윤 정부가 세계 3대 로봇 강국을 목표 삼으며 로봇 산업이 국가차원의 미래전략산업으로 대두되고 있다.
협동로봇 기업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s)이 2023년 자동화 시장을 전망하며, 협동로봇 시장 강자로서의 포부를 드러냈다.
유니버설 로봇은 2023년 자동화 시장의 핵심 키워드와 주요 전망에 대해 28일 발표했다.
유니버설 로봇 전략 및 혁신담당 부사장 안더스 벡이 △턴키 솔루션(Turn-Key Solutions) △모듈형 생산으로의 전환 △다양한 협동로봇의 등장 △로봇 수요의 확대 △고객 중심 제품개발 등 5가지를 꼽았다.
턴키 솔루션(Turn-Key Solutions)이란, 두 종류 이상의 첨단 기술을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개념이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센서 및 인터페이스 개발로 이어지는 각 기술 및 이미 출시된 첨단 기술을 결합하면 자동화는 더욱 용이해진다는 설명이다.
또한 생산공정 내 모듈화가 증가된다. 유니버설 로봇은 이를 위해 산업용 로봇을 협동 로봇으로 전환시킬 것으로 예측했다.
협동 로봇은 산업용 로봇 대비 작고 가벼우며 배치하기가 훨씬 쉽다. 또한 재구성이 가능해 모듈화에 용이하며, 안전성이 높다.
이와 관련해 더 높은 가반하중(payload)와 더 넓은 작업반경의 협동로봇이 응용분야의 환경을 바꿀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유니버설 로봇이 올해 출시한 'UR20'은 20kg 가반하중, 작업반경은 1750mm로, 유로 팔레트의 전체 높이까지 작동하도록 설계됐다. 작은 면적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로봇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로봇의 일상화는 계속될 것으로 봤다.
IFR 세계 로보틱스 리포트에 따르면, 2015년과 2021년 사이 전 세계적으로 연간 로봇 설치가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2021년 산업용 로봇 설치는 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인터랙트 애널리시스(Interact Analysis) 리포트에 따르면, 협동 로봇 산업은 2026년까지 2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로봇 기업과 고객이 협력해 구체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공동개발 프로젝트가 늘어날 것이라 전망했다.
자동화 시장이 자리잡으면서 자신의 요구사항을 로봇 회사에 전달할 수 있는 고객의 입지가 강해지면서 앞으로 제품 개발에 최종 단계에 고객 참여를(end-customer) 더욱 증가시킬 것이라는 설명이다.
유니버설 로봇 이내형 대표는 "유니버설 로봇은 항상 고객의 입장에서 고객에게 가장 중요한 방식으로 고객의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유니버설 로봇은 내년에도 협동로봇의 잠재력과 적용 범위를 알리며 다양한 분야에서 협동로봇을 쉽게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