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제조 혁신 지원사업 통합공시 실시
공장구축·로봇·제조데이터·컨설팅 6개 분야
전 세계적인 디지털 전환 추세에 따라 생겨난 ‘스마트공장’이란, 전 제조 과정에 첨단 ICT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자동화 솔루션을 적용해 생산성을 증대한 공장을 의미한다. 2014년부터 우리나라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해 지원사업이 시작됐고, 2022년 말 약 3만개가 구축됐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총 1,462억원을 지원할 계획을 밝히고,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본격 추진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9일 올해 총 1,462억원 규모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통합공고’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중소기업들이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생산성 29.4% 증가, 품질 42.8% 향상, 원가절감 15.9% 등 공정 개선을 달성했다고 전했다. 또한 기업당 매출 6.4% 증가를 비롯해 고용 1.5명 증가, 산업재해 4.9%가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 올해 달라지는 점…주요 목표는 ‘스마트공장 고도화’
중기부는 올해 지능형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으로 추진체계를 바꾸고,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주요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핵심은 그간 양적 확대 중심에서 스마트공장 구축에서 고도화 중심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이에 총 836억원이 지원된다.
진정한 스마트공장은 자동화 수준에 그치지 않고, 기기들이 실시간으로 스스로 생각하고 제어 및 관리하는 스마트한 공장을 일컫는다.
현재 우리나라 스마트공장 수준은 생산정보 디지털화의 기초 수준에 그치지만, 고도화를 통해 데이터 실시간 수집 및 분석, 제어 수준에 도달하도록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고도화 단계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려는 기업에게 충분한 사업 준비 기간을 기존 30일에서 45일로 확대해 설계 준비를 돕는다.
마지막으로, 업종별 특화 등 일부 사업을 폐지하고 투자연계형, 부처협업형 및 공급망 연계형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을 신설한다.
공급망 연계형은 다수의 스마트공장이 데이터와 네트워크 기반 상호 연결을 통해 자재관리, 수주, 생산, 유통, 마케팅 등을 함께 수행한다. 5개사 이상의 협업수요가 있는 기업 간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만큼, 클러스터 형태로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해 장소 제약 없는 미래형 공장 시스템을 엿볼 수 있다.
■ 2023년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주요 내용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은 정부일반형과 대중소 상생형으로 구분된다.
정부일반형은 개별기업의 수요에 맞춰 지원유형을 ‘기초’, ‘고도화1’, ‘고도화2’로 나누어 지원하던 방식에서 고도화1 수준 단일 지원방식으로 변경된다. 대중소 상생형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구축하면 정부가 후원해 총 216억원을 지원한다.
또한 전략분야 육성 등 특화형 스마트공장을 지원한다. 반도체·원전·산업재해 등 현안 분야를 위한 부처협업형 스마트공장에 최대 70억원을 지원한다. 뿌리기업과 탄소중립형 스마트공장에 30억원을 지원한다. 로봇 활용 기업에도 181억원을 지원한다.
이외에 제조자료 활용 지원에 80억원이 투입된다. AI 솔루션 구축을 지원하고, KAMP(인공지능 제조플랫폼(KAMP)와 연계한 맞춤형 분석모형을 지원한다.
또한 중소기업이 데이터 활용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제조자료(데이터) 촉진자 양성사업’을 운영한다. 재직자 대상 교육도 무료 지원한다.
23년 처음 도입하는 사업으로는, 스마트공장 솔루션 개발 역량을 갖춘 컨소시엄도 지원한다. 제조기업이 아닌 공급기업 컨소시엄 대상으로 해 다양한 제조혁신 기능이 포함된 솔루션 개발을 지원한다.
민간 자체 공장 구축 기업은 수준확인 비용으로 1백만원을 지원받는다. 수준 확인을 받은 기업은 공공기관에 납품하거나 정책자금 등 신청할 경우 우대혜택을 받을 수 있다.
컨설팅도 지원해 전문가를 최대 6개월 동안 파견해 노하우를 전수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