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 교수, 동문, 학생들 선정
우리나라를 견인해 온 10대 기술도 발표, 미래 이끌 7대 기술 강연 진행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에서 개교
70주년을 기념하며 전기
, 전자
, 컴퓨터 분야에서 우리나라를 견인해온
10대 기술과 앞으로 미래를 이끌
7대 기술을 선정했다
.
이는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에서
2016년
2월부터 교수
, 동문
, 학생들로부터 후보 기술명 제안을 받고 투표를 하는 과정을 거쳐 선정됐다
.
우리나라를 견인해 온
10대 기술로는 ▲가전 기술 ▲디지털
TV 기술 ▲메모리 반도체 기술 ▲스마트폰 기술 ▲이동통신 기술 ▲인터넷 기술 ▲자동화 기술
(제어
, 전력
, 모터 등
) ▲인터넷 기술
(World Wide Web 등
) ▲컴퓨터게임 기술 ▲평판디스플레이 기술 ▲포털 및
SNS 기술이 뽑혔다
.
지난
17~18일
, 서울대에서 ▲사물인터넷 기술
(IoT) ▲맞춤형 건강의료 기술 ▲가상현실
/증강현실 기술
(VR/AR) ▲자율주행 자동차 ▲인공지능 기술
(AI) ▲빅데이터 기술 ▲로봇 기술을 미래를 이끌
7대 기술로 선정하여 강연이 열렸다
.
1. 사물인터넷, 전 세계는 거대한 신경계처럼 될 것
무선네트워크
, Wi-Fi, LTE, IoT 커넥티비티를 연구하는 전기정보공학부 최성현 교수는 사물인터넷
(IoT)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서 강연했다
.
IoT는 사물들을 연결하여 실제시스템 및 물리적 현상을 이해하고 제어하는 것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 스마트 빌딩
, 스마트 시티
, 우주 산업 등에 핵심적으로 적용되는 기반 기술이다
.
▲사물인터넷 기술로 가정내 가전기기들이 모두 연결된다. 사용자는 스마트기기 하나로 이 모든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이어 인터넷이 연결되는 기기들이 늘어나고 있다
. 특히 최근 들어서는 홈
IoT 기기들과 서비스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 디지털 도어락
, 창문 열림 감지기
, 가스 안전기
, 전기 플러그
, 조명기기 및 냉장고
, 에어컨
, 세탁기 등 다양한 가전제품들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 기기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었다
.
IoT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은 통신기술이다
. 현재
IoT 기기는 집안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Wi-Fi, 블루투스
, ZigBee, Z-Wave, 가시광 통신
, 음파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
이러한 기술은 전송거리가 수십미터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 사용할 수 없다
. 외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원거리통신의 대표적인 것이 스마트폰에 사용하는
4G, LTE 기술이다
. 이 기술들은 저가
, 저전력의
IoT 기기에는 사용할 수 있지만 소물인터넷
(IoST)에는 적합하지 않다
. 최근에 들어서
1~수십
km의 전송거리를 지원하는 원거리 통신망이 개발이 되었다
. 기존에 있던 방식을 진화시킨
LTE-M, NB-IoT 기술이 있고
, 전혀 새로운 방식의
LoRa, SigFox 기술로 저속이지만 저전력으로 소물인터넷을 연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최성현 교수는 “통신 기술은 전송 거리와 전송 속도의 측면에서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 IoT 기기에 따라 전력소모
, 가격
, 주파수에 따라 적합한 기술이 있다
. 언제
, 어디서
, 어떻게 적용시켜 사용할지가 관건이다”라고 덧붙였다
.
마지막으로 “
2020년을 목표로
5G가 개발되고 있다
. 4G보다 더 빠른 속도
, 짧은 ‘지원 시간과 하나의 지역에서 많은 기기들이 동시에 접속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
5G 기술이 상용화 된다면 진정한
IoT 시대가 올 것이다
. 사람 대 사람
, 사람 대 사물
, 사물 대 사물이 실시간으로 연결되는 초연결 사회가 구현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
2. 개개인 맞춤 치료, 유전자 맞춤 치료와 선택적 항암 치료 가능
두 번째로 맞춤형 건강의료에 대해서 인공시각 장치
, 신경 보철
, 바이오
MEMS를 연구하는 전기정보공학부의 서종모 교수의 강연이 이어졌다
.
유전자와 유전물질
, 단백질 사이의 관계가 밝혀지고
, 체내 대사와 신호전달과정을 알게 되면서 ‘모든 환자의 불편을 개선하자’는 생각이 근현대 의학의 시작이 되었다
.
과거에는 천연 물질에서 치료효과가 있는 성분을 찾아 약물을 연구했다
. 하지만 지금은 체내 대사와 신호전달과정을 알게 되면서 치료 대상이 되는 분자 구조에 따라 약물을 설계한다
. 이러한 방법은 암세포들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어 항암 치료의 부작용을 최소화한다
.
컴퓨터단층촬영
(CT), 자기공명영상
(MRI)은 몸의 부분 부분의 정보를 수치로 바꿔서 그림으로 나타낸다
. 예전에는 여기서 구조적 변화
, 병이 어디에 생겼는지를 봤지만 현재는 기능성
MRI로 수치를 분석해 기능적 변화를 본다
. 이러한 기술의 발달은 환자 개개인의 특성을 분석해 개개인 맞춘 의료를 할 수 있게 되었다
.
의학에 공학이 합쳐지면서 기계의 발달로 수술 방식이나 검사 절차들이 효율적으로 진화했다
. 장비의 발달로 내시경 수술 방법이 발전했고 로봇을 이용에 양손과 양발을 동시에 사용하여 수술자의 의도를 최적화할 수 있게 되었다
. 검사기기의 발달로 많은 양을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어 빠른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다
. 이와 더불어
, 특정 유전자 검사를 통해 암이 생기는 이유와 유전적으로 어떻게 변이되는지 알 수 있어 유전자에 따른 맞춤 치료도 가능하게 되었다
.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질병을 예측할 수 있냐는 질문에 서종모 교수는 “현재 가족력이 있는 일부 암이 발견된 사례가 있다
. 하지만 유전자 이상이 있다고 해서 꼭 질병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 환경적 요인이 추가되어야 질환이 되는 경우가 많다”며 “유전자 이상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면 환경적 요인이 추가되어 질환이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고 대답했다
.
3. VR/AR, 영상 구현 기술의 발달과 좋은 콘텐츠 만들려는 노력 필요
세 번째 강연으로는 디지털 신호처리
, 영상처리
, 영상인식을 연구하는 전기정보공학부의 조남익 교수가 가상현실
(VR)과 증강현실
(AR)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환경을 가상현실
,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것을 증강현실이라고 한다
. 이러한 기술은 게임
, 모의훈련
, 엔터테인먼트
, 영화
,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응용에 적용이 가능하다
.
▲전시장을 찾은 참관객이 VR를 통해 놀이기구 가상 체험을 하고 있다.
VR 글래스를 이용한 가상현실의 대한 연구는
195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 가상현실 기술의 목표는 현실과 구분되지 않는 몰입도를 갖는 것이다
. 그러기 위해서는 그래픽 기술
, 3차원 영상 취득 기술
, 해상도 디스플레이 기술이 필요하다
.
2차원의 증강현실은 예전부터 이미 사용되고 있다
. 3차원에서 표현하기 위해서는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크기와 초점이 다른 영상을 만들어야 하고 사람의 의도와 행동을 파악하는 센서 기술
, 사람과 기계간의 인터페이스 기술이 필요하다
.
현재 다양한 수준의 기기가 시장에 나와 있고 콘텐츠가 개발되고 있다
. 하지만
UHD 영상에서도 픽셀 격자가 보이는 해상도
, 기기의 무게
, 배터리 사용 시간
, 완벽하지 않은 영상기술과 광학기술로 인한 색수차
, 영상 왜곡
, 움직임과 영상의 표현에 따른 시차로 인한 멀미
, 고해상도 영상 전송 등의 문제가 있다
. 또
, 부족한 콘텐츠로 대중화가 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
조남익 교수는 “대중화되기에는 아직 기술이 뒷받침 되지 못하고 있지만
, 교육
,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 군사 훈련
, 심리
/재활 치료 등에 쓰일 수 있다”며 “좋은 콘텐츠를 늘려나가는 것에도 힘써야 한다”고 전했다
.
4. 자율주행차, 사람보다 뛰어난 운전지능을 가진 자동차 나올까
전기정보공학부의 서승우 교수의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강연은 영상으로 진행되었다
.
최근 자율주행 자동차 관련 기술은 초기 연구 수준을 지나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 2040년경에는 전 세계 차량의
75%가 자율주행 차량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 운전자가 개입하는 제한적 자율주행기술은 상당 부분 완성 되었고
, 고속도로 특정 구간에서 주행하는 기술은 양산 직전 수준이다
.
▲ 서울대 자율주행 자동차
자율주행 자동차 연구는 아우디
, 볼보
, 포드 등 전통적 자동차 회사뿐만이 아니라
, 구글이나 바이두 같은 인터넷
/ICT 전문 기업들도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아우디 사는
2016년 초 고속도로 구간에서 자율주행을 성공했고
, 구글의 자율주행차는 일반도로에서
500만
km가 넘는 주행기록을 달성했다
.
이 기술은 센서 기술의 발전으로 환경 인식 성능이 개선되고
, 통신을 이용해 인프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또
,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간을 뛰어넘는 수준의 운전지능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
하지만 자율주행은 사회
, 경제
, 법
, 문화
, 관습 등 다양한 분야와 얽혀 있는 사회
-정치적 문제이다
. 자동차가 합리적인 방식으로 주행하기를 원한다면 인간의 합리적 행동 방식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
< 미래 이끌
7대 기술 나머지는 다음 주에 이어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