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메모리 반도체와 AI 프로세서를 결합한 ‘HBM-PIM’을 개발했다. PIM(Processing-in-Memory)은 메모리 내부에 연산 작업에 필요한 프로세서 기능을 더하는 기술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8년 1월부터 양산 중인 2세대 고대역폭 메모리 반도체(High Bandwidth Memory)인 HBM2 아쿠아볼트 제품에 AI 엔진을 탑재하여 이번 제품을 개발했다.
PIM, 메모리 내부에서 프로세싱 작업 수행하여
폰 노이만 구조의 고질적인 병목 현상 탈피해
상반기 안에 고객사 AI 가속기로 검증 작업
삼성전자는 17일, 업계 최초로 메모리 반도체와 AI 프로세서를 결합한 ‘HBM-PIM’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삼성전자, HBM-PIM 개발 [그래픽=삼성전자]
PIM(Processing-in-Memory)은 메모리 내부에 연산 작업에 필요한 프로세서 기능을 더하는 기술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8년 1월부터 양산 중인 2세대 고대역폭 메모리 반도체(High Bandwidth Memory) ‘HBM2 아쿠아볼트(Aquabolt)’에 AI 엔진을 탑재하여 HBM-PIM을 개발했다.
AI 시스템에 HBM-PIM을 탑재하면 기존 HBM2 이용 시스템 대비 성능은 약 2배 이상 높아지고, 시스템 에너지는 70% 이상 감소한다. 또한, 기존 HBM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지원해 기존 HBM 이용 고객들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변경 없이 HBM-PIM을 통해 AI 가속기 시스템을 강화할 수 있다.
최근 AI 기술의 응용 영역이 확대되며 고성능 메모리 요구가 지속해서 커져 왔으나, 기존 메모리로는 폰 노이만 구조의 한계를 극복하기 어려웠다.
폰 노이만 구조란, 오늘날 컴퓨터 대부분에서 사용하는 처리 방식이다. CPU가 메모리로부터 명령어를 불러오고 실행하며, 그 결과를 다시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작업을 차례대로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CPU와 메모리 간 주고받는 데이터가 많아지면 작업처리가 지연되는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삼성전자는 메모리 내부의 최소 논리적 단위인 뱅크(Bank)마다 AI 엔진을 장착하고, 병렬처리를 극대화해 성능을 높였다. HBM-PIM은 메모리 내부에서 연산 처리가 가능해 CPU와 메모리 간 데이터 이동이 줄어들어 AI 가속기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삼성전자는 해당 기술을 D램 공정에 접목해 HBM-PIM을 제품화하는데 성공하고, 반도체 분야 세계 학회인 ISSCC에서 논문을 공개했다.
상반기 내로 삼성전자는 고객사들의 AI 가속기에 HBM-PIM을 탑재해 테스트 검증을 완료할 예정이다. 또한, 향후 고객사들과 PIM 플랫폼의 표준화와 에코시스템 구축을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