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ICT 수출은 118.6억 달러, 수입은 67.9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50.7억 달러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월 ICT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17.8% 감소했다고 밝혔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휴대폰(19.0억 달러 △7.3%), 반도체(45.3억 달러 △13.9%), 디스플레이(20.1억달러 △30.7%), 컴퓨터 및 주변기기(5.9억 달러 △10.1%) 등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1월 ICT 무역수지는 흑자이나 전체적 감소세
스마트폰 성장률 둔화, 중국 공격적 생산 영향
1월 ICT 수출은 118.6억 달러, 수입은 67.9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50.7억 달러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월 ICT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17.8% 감소했다고 밝혔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휴대폰(19.0억 달러 △7.3%), 반도체(45.3억 달러 △13.9%), 디스플레이(20.1억달러 △30.7%), 컴퓨터 및 주변기기(5.9억 달러 △10.1%) 등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ICT 수출 118.6억 달러, 수입 67.9억 달러…무역수지는 50.7억 달러 흑자
이처럼 부진한 이유를 보면, 휴대폰은 화웨이 등 후발업체 공세와 스마트폰 시장 성장률 둔화, 중저가 시장 확산 등으로 수출이 감소했으며 디스플레이는 글로벌 수요 정체 및 중국업체의 공격적 생산 확대에 따른 단가하락으로 수출 감소세 심화됐다고 산업부는 분석했다.
▲전시장을 찾은 참관객들이 한 기업의 스마트폰을 살펴보고 있다(참고사진)
반도체도 D램 가격 하락과 스마트폰 등의 세계 시장 수요둔화로 수출이 줄었으며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세계 시장 수요 감소 및 보조기억장치(SSD 등)의 전년 동월 기저효과(‘15.1월 수출 54.9% 증가)로 두자릿 수 감소세를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아세안(18.5억 달러, 0.4%↑)쪽 수출이 증가했으나, 중국(홍콩 포함, 64.1억 달러, △17.3%), 미국(11.7억 달러, △2.8%), EU(7.5억 달러, △20.2%), 중동(2.8억 달러 △29.6%) 등 대부분 지역의 수출이 감소했다.
▲연도별 1월 ICT 수출(억 달러)과 연도별 1월 ICT 수입(억 달러) 현황
아세안 지역은 반도체(8.7억 달러, △3.2%) 수출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휴대폰(3.7억 달러, 15.8%), 디스플레이(1.2억불, 21.6%) 등의 확대로 수출이 0.4% 증가했다. 최대 수출국인 중국은 디스플레이(16.2억 달러, △24.9%), 반도체(28.4억 달러, △13.7%) 등을 중심으로 두 자릿수의 감소를 기록했다.
미국은 휴대폰(4.4억 달러, 7.5%↑), 디스플레이(0.1억 달러, 32.1%↑) 수출은 증가했으나, 반도체(2.6억 달러, △14.6%), 컴퓨터 및 주변기기(1.0억 달러 △17.5%) 등의 부진으로 감소했다. EU는 경기 부진과 휴대폰(0.9억 달러 11.0%↑)을 제외한 디스플레이(0.9억 달러 △61.7%), 반도체(1.2억 달러 △21.0%) 등의 부진으로 13개월 연속 감소했다.
메모리 반도체 수입 증가, 시스템 반도체 수입은 감소
반면, ICT 수입은 67.9억 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5.1%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D-TV(0.4억 달러, 15.4%↑) 수입이 증가했고, 반도체(28.0억 달러 △16.5%), 디스플레이(3.7억 달러 △31.8%), 휴대폰(6.3억 달러 △30.4%), 컴퓨터 및 주변기기(9.0억 달러 △2.4%)는 감소했다.
반도체는 D램 후공정 물량을 중심으로 메모리 반도체(6.1억 달러, 11.8%↑) 수입이 증가했으나, 국내 업체의 자체 생산 증가로 시스템 반도체(17.5억 달러 △23.0%) 수입은 감소했다. 휴대폰은 외산 스마트폰에 대한 전작 대비 낮은 수요와 신형 스마트폰 출시에 따른 대기수요 등으로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24.9억 달러 △28.1%), 아세안(9.1억 달러 △18.5%), 일본(7.0억 달러 △16.4%), 미국(6.2억 달러 △11.3%), EU(4.4억 달러 △12.4%)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수입이 감소했다.
ICT 수지는 반도체,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 주력품목의 흑자로 50.7억 달러 흑자를 기록, 전체 수지 흑자달성(53.3억 달러)을 견인했다. 중국(39.2억 달러, 최대 흑자국), 유럽연합(3.1억 달러), 미국(5.5억 달러)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ICT 무역수지 흑자 기조를 지속하고 있으며, 일본에 대해서는 무역수지 적자(4.0억 달러)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