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가 6일, 보안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시스코 2018 아태지역 보안 역량 벤치마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전체 위협 경보 중 30%만 조사된 것으로 나타나는 등 국내 전반 보안 역량 강화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을 비롯한 아태지역 전반의 사이버 공격 대상이 운영기술 분야로 확대된 가운데, 이번 보고서는 보안 담당자를 위한 주요 권고 사항과 함께 공개됐다.
시스코, 아태 지역 보안 역량 보고서 발표
국내 기업 전반, 보안 역량 강화 시급
아시아 태평약 지역 중 최하위
시스코 코리아는 6일,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11개국 2천여명의 보안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시스코 2018 아태지역 보안 역량 벤치마크 보고서(2018 Asia Pacific Security Capabilities Benchmark Study)’를 발표했다.
하루에 보안 위협 경보 수천번 울리지만, 해결율 저조
시스코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61%가 매일 5천건 이상의 보안 경보를 감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협 경보 중 70%가 제대로 된 조치 없이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나마 조사가 이뤄지는 30%의 보안 경보 중에도 실제 위협으로 판단된 경우는 그 중 16%로 파악됐다. 이는 글로벌 평균(34%) 및 아태 지역 표준(44%)보다 한참 낮은 수치로, 기업들이 보안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조직에서 매일 발생하는 보안 경보의 평균 횟수
또한, 위협으로 판단된 경보 중 문제를 해결하는 비율은 40%로 절반에 채 못미쳤다. 이는 글로벌 평균 50%, 아태 지역 53%보다 낮으며, 이번 아태 11개국 조사에서 한국보다 뒤지는 국가는 태국(37%)과 베트남(39%)이 유일했다.
지난해 보안 위협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한국)
아울러 보안 공격을 겪은 국내 응답자의 절반(49%)이 평균 100만에서 500만 달러(약 11.1억에서 55.7억원)의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고 답했다. 이 경제적 손실은 수익 악화, 고객 감소, 경비 증가 등을 모두 포함한다. 500만~1천만 달러(약 111.4억원)라고 답한 그룹도 6%나 된다. 반면 10만 달러 미만의 비교적 낮은 손실을 입었다고 답한 그룹은 불과 2%로 아태 20%, 글로벌 30%과 격차가 커서, 보안 공격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너무 많은 보안 벤더/솔루션, 복잡성-취약점 증가
설문에 응담한 한국 보안 담당자의 92%가 보안 위협 경고에 대해 여러 협력사 및 제품 간에 협업하고 조율하는 것이 대단히 어렵다고 답했다. 이는 아태 지역 82%, 글로벌 평균 74%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다.
한국 보안 담당자가 사용하는 보안업체의 수
한국 응답자 34%는 10개 이상의 보안 업체와 일하고 있고, 50%는 10개 이상의 보안 제품을 함께 운용하고 있다고 답했는데, 이런 상황은 보안 대책의 복잡성과 취약성을 높인다.
이번 연구 조사 결과, 아태 지역 중에서도 한국은 보안 위협에 대한 대응력을 크게 강화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응답자들은 ▲부족한 예산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 문제 ▲관련 정보의 부족 등을 세가지 장애물로 꼽았다. 시스코는 보안 훈련과 조직화, 자동화 등이 사이버 보안 역량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진단했다.
사이버 공격 대상, 운영기술로 확대, 기업 타격 커질 우려
사이버 위협의 목표 대상이 IT 인프라만이 아닌 기업 운영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운영기술(OT)로까지 확대되고 있어 기업들이 더 큰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아태 응답자의 30%가 운영기술 분야에서 사이버 공격을 당했으며, 50%는 앞으로 비슷한 공격들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41%는 자신들이 몸담고 있는 기업의 운영 인프라 기술이 현 상태로 유지된다면 비즈니스 전반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사이버 위협의 범위가 이처럼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보안 정책 전반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시급한 상황이다.
시스코 보고서는 보안 담당자를 위한 주요 권고 사항을 함께 발표했다.
▲차세대 엔드 포인트 프로세스 모니터링 도입 ▲적시에 위협 인텔리전스 데이터, 프로세스를 정확히 파악해 보안 모니터링 및 알림에 데이터 통합 ▲클라우드 보안 플랫폼과 같이 확장 가능한 최전방의 방어 도구 구현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통한 아웃브레이크(outbreak) 노출 최소화 ▲정기적인 보안 대응 절차 검토 및 개선 ▲자동화 솔루션을 활용하고 제한된 자원을 기술로 보완
조범구 시스코 코리아 대표는 “AI·IoT·멀티 클라우드 환경까지 모든 것이 연결된 세상으로 발전하면서, 보안은 오늘날 비즈니스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현재 시스코는 매일 2백억 개의 위협을 차단하고 있지만, 위협의 범위는 계속해서 증가 중이며 복잡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며, “시스코는 일회성의 보안 솔루션이 아닌, 네트워크 전체에서 공격의 전범위를 포괄하는 완벽한 보안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하여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필리핀, 태국, 호주 등 총 11개국에서 2천여명의 보안 전문가를 대상으로 사이버 보안 대응력 및 경제적 손실 등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보다 상세한 보고서 내용은 시스코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