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 응용편 : 사용 시의 선정 포인트

2025-03-13 10:30~12:00

ROHM / 노아현 FAE

  • 김*수2025-03-13 오전 10:49:52

    ROHM에서 시판중인 전장용 LED에서 가장 작은 사이즈는 얼마나 되나요? (mm기준)
  • ROHM22025.03.13

    1608 PKG 입니다.
  • 김상**2025-03-13 오전 10:49:49

    저전류 구동 시 LED의 성능 변화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와 ROHM에서는 저전류 설계 시 어떤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고 있는지요?
  • ROHM12025.03.13

    저전류 구동시 색도편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저전류 영역에서 색도 편차를 보증하는 제품을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김*수2025-03-13 오전 10:49:31

    안녕하세요.. 혹시 스마트 LED군도 라인업이 있으신지요?
  • ROHM22025.03.13

    죄송합니다. 아직 롬에는 스마트 LED 라인업은 준비되어 있지 않습니다.
  • 김상**2025-03-13 오전 10:48:14

    특정 응용 분야에서 요구되는 광도와 광속의 최적 값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 박*현2025-03-13 오전 10:47:36

    펄스 구동하면 전력 절감도 될까요? 효과는 어느정도?
  • ROHM22025.03.13

    ON Time에만 전력이 소모되므로, 전체 주기에서 OFF Time 만큼의 전력 절감이 가능합니다.
  • 정*균2025-03-13 오전 10:47:06

    일반 컨슈머용도의 제품에 비하여 산업용이나 전장용제품의 가격은 어느정도로 비싼가요?
  • ROHM22025.03.13

    관심있는 품번을 알려주시면 영업 창구 통하여 말씀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이*준2025-03-13 오전 10:46:00

    PWM 제어와 유사하다고 해 주셨는데, 실제 전기 기기의 특성상 rising edge, falling edge의 slope가 있어 가능한 최대 frequency가 존재할 것 같은데 이 수치가 LED의 특성이나 수지열화와 관련이 있나요
  • ROHM12025.03.13

    수지열화는 LED가 on 되었을 때만 발생합니다. frequency의 slope보다는 전체적인 LED on period를 고려해주시는 것이 유효합니다.
  • 최*수2025-03-13 오전 10:45:34

    마이크로LED와 같은 저전류 구동 방식과 일반 LED 구동 방식에 차이가 있을까요?
  • ROHM12025.03.13

    LED는 기본적으로 passive 소자이기 때문에 LED 시리즈가 달라진다 하여 그 구동방식이 다르게 적용된다거나 하는 규칙은 없습니다. 구동 방법은 사용자와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김상**2025-03-13 오전 10:45:32

    열 설계에서 꼼꼼히 고려해야 할 요소들은 무엇인지와 방열판, 열전도성 재료 등.ROHM의 LED 설계 시 열 관리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은 무엇인가?
  • ROHM12025.03.13

    열설계에 대해서는 세트 및 사용 환경에 영향을 크게 받는 내용이 되므로 일률적으로 답변드리기 어렵습니다. 다만, 폐사에서는 ROHM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에 한해 열설계 기술 서포트를 드리고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 이*신2025-03-13 오전 10:45:03

    강의 초기에 가속계수 말할때 10도 올라갈때마다 2배 올라간다고 했는데 아레니우스 모델 적용하면 값이 다른데 어떤 모델을 적용했을때 2배가 된다는건가요?
  • ROHM22025.03.13

    설명드린 가속 계수는 아레니우스 법칙을 단순화한 경험적 관계로, LED 수지가 온도에 따라 얼마나 빠르게 열화되는지를 설명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