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에너지 밀도가 높은 국산 리튬이온 배터리인 삼원계 NCM 배터리는 유리하고 중국산 기반의 리튬인산철 배터리인 LFP 배터리는 불리하다고 불평하고 있다.
2024.02.29by 편집부
전기차 가격 경쟁 심화 속 LFP 배터리를 탑재한 저렴한 전기차들을 출시하는 흐름이 거센 가운데 중국의 굳건한 LFP 배터리 점령에 우리나라 배터리 3사도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2024.02.29by 성유창 기자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전주기 이력정보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중국의 사례를 비추어볼 때 초기 시장의 불확실성을 완화하고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보완책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제기됐다.
2024.02.27by 성유창 기자
OEM들이 SDV 관련 다양한 비즈니스를 전개해 나가면서 테슬라는 보험으로, BMW 등은 구독형 서비스를 통해 기존 자동차 판매로만 거둬들였던 수입을 다른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로 수입을 창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24.02.27by 성유창 기자
SDV가 2028년 4,190억달러 이상의 규모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아키텍처, 보안 등 SDV의 핵심 키워드와 개발 방향성에 대해 들어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2024.02.26by 성유창 기자
모라이는 RIS 대구경북지역혁신플랫폼 미래차전환부품사업단과 대구경북지역 미래차융합전공 인재 양성을 위해 협력하고 있으며 영남대학교는 이번 디지털 트윈 맵 구축으로 자율주행 테스트 베드를 확보함으로써 미래 모빌리티 기술 연구 기반을 강화하게 되었다고 23일 전했다.
2024.02.23by 성유창 기자
유블럭스는 최근 아태지역 주요 자동차 고객들의 신규 프로젝트에 채택됨으로써 2026년부터 1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22일 전했다.
2024.02.22by 성유창 기자
한자연은 지난 21일(현지시각) 나승식 한자연 원장과 한국 및 독일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독일 에쉬본 국제업무단지에서 ‘한국자동차연구원 독일사무소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22일(목) 밝혔다.
2024.02.22by 성유창 기자
현대차·기아가 KAIST와 함께 고도화된 자율주행차에 쓰일 라이다 센서를 개발하기 위해 ‘현대차그룹-KAIST 온칩 라이다(On-Chip LiDAR) 공동연구실’을 대전 KAIST 본원에 설립했다.
2024.02.21by 배종인 기자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