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다양한 산업·공공 분야에서의 디지털 트윈 기술 활용방안을 제시한 『디지털 트윈의 꿈』 개정판을 발간했다.
▲ETRI 김용운 책임연구원이 디지털 트윈과 CPS(사이버물리시스템)의 비교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모습
‘디지털 트윈’ 사용설명서 개정판 발간
ISO 국제표준 제정...산업·공공 활용성 기대
국내 연구진이 발간한 제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는 ‘디지털 트윈’ 기술 활용 방안에 대한 지침서로 디지털 트윈 활용·확산을 선도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다양한 산업·공공 분야에서의 디지털 트윈 기술 활용방안을 제시한 『디지털 트윈의 꿈』 개정판을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또한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세계 최초로 ‘디지털 트윈’관련 국제표준안을 제안, 지난해 10월 ISO 23247로 개발을 완료하여 발간·배포했다고 전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은 가상공간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실에서의 문제 발견 및 해결을 위해 활용될 수 있어 제조·에너지 등 산업 뿐만 아니라 환경, 재난재해, 도시와 같은 공공 분야에서도 적용된다.
ETRI가 이번 개정하여 발간한 『디지털 트윈의 꿈』은 다양한 분야의 산업 현장과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디지털 트윈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기술 수요자 측면에서 청사진을 제시한다고 전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기존의 △디지털 트윈 데이터 모델링 △서로 다른 디지털 트윈 간 연동 및 인터페이스 △형상화 충실도 및 가시화 충실도 △충실도 설계 기준 △수준 성숙도 진단모델이 보완됐다.
△AR·VR·MR, CPS, 메타버스 등 기타 관련 기술과의 연계 등에 대한 연구 성과 △디지털 트윈의 개념과 정의, 기대효과 △디지털 트윈 종류와 모델 결합 △상호운용성 △생애주기 관리와 디지털 쓰레드(Digital Thread) △참조모델, 모델링 방법을 추가됐다.
현재의 디지털 트윈 기술개발 중에는 디지털 트윈 이해 미흡, 시간·비용·인력 부족 등 원인으로 문제 해결에 미흡한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 보고서에서는 산업 특성에 맞는 적정한 투자와 함께 디지털 트윈의 개념과 이해에 대한 사전 고려가 선행되어야 함을 중요하게 다뤄 근본 원인 해결을 위한 해결책으로서 역할이 기대된다.
또한 연구진은 디지털 트윈 기술의 국제표준화 부문에서도 성과를 거뒀다. 2018년 최초로 디지털 트윈 관련 국제표준안을 제안해 지난해 10월 ISO 23247(제조 분야에 디지털 트윈을 적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기술을 정의한 표준 문서) 시리즈 표준 개발을 완료했다
연구진은 2025년 목표로 디지털 쓰레드(제5부) 및 디지털 트윈 컴포지션(제6부) 표준 개발도 같이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신각 ETRI 표준연구본부장은 “디지털 트윈은 해결하고자 하는 현실의 문제를 가상공간에서 직관적으로 풀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핵심 기술이다. 이 보고서와 표준이 연구자와 기술을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 수요자에게 길잡이가 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