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통신의 역사는 인간의 연결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역사입니다. 선사 시대부터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통신의 기능은 소통과 약속의 수단으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888년 조선시대 전기통신이 최초 도입됐으며, 해방 후 1980년대 통신사업과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정보화 시대가 개막했습니다. 이제 5G, 6G 시대를 맞아 차세대 통신이라 꼽히는 위성통신, 양자통신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로봇·클라우드·UAM 등 첨단 기술 발전과 함께 통신은 점점 중요해지며, 끝없이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통신은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져 있는 가장 기본이 되는 동시에 핵심이 되는 기술입니다. 본지는 이번 기획 시리즈를 통해 통신의 역사부터 소소한 사건, 기술, 트렌드까지 통신과 관련된 이모저모를 다뤄보겠습니다.
점점 빨라지고, 서로 연결되는 21세기 통신
세계 최초 CDMA 상용화로 촉발된 디지털 시대
[편집자주] 통신의 역사는 인간의 연결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역사입니다. 선사 시대부터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통신의 기능은 소통과 약속의 수단으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888년 조선시대 전기통신이 최초 도입됐으며, 해방 후 1980년대 통신사업과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정보화 시대가 개막했습니다. 이제 5G, 6G 시대를 맞아 차세대 통신이라 꼽히는 위성통신, 양자통신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로봇·클라우드·UAM 등 첨단 기술 발전과 함께 통신은 점점 중요해지며, 끝없이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통신은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져 있는 가장 기본이 되는 동시에 핵심이 되는 기술입니다. 본지는 이번 기획 시리즈를 통해 통신의 역사부터 소소한 사건, 기술, 트렌드까지 통신과 관련된 이모저모를 다뤄보겠습니다.
■ 퀄컴, CDMA 이동통신 표준 장악
▲세계 최초 CDMA 서비스 시연 모습 (사진=SKT)
올해 창사 40주년을 맞은 SKT가 이동통신 40주년의 역사와 함께 CDMA 상용화 공헌으로 IEEE 마일스톤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1세대(1G) 무선통신이 도입된 이후,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 상용화에 성공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분할다중접속)’ 기술은 국내 통신산업 역사에서 기록적인 성과라고 볼 수 있다.
2세대(2G)에서 디지털 음성 전송과 SMS(단문 메시지)를 도입해 1가구가 아닌 ‘1인 1전화 시대’를 열어준 것도 CDMA 기술 덕분이다. 당시에는 미국, 유럽 등 TDMA(시분할)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지만, FDMA(주파수 분할) 방식에 비해 성능 차이가 뛰어나지 못했고, CDMA 방식은 이론적으로 어렵지만 이동통신의 수요 폭증에 대응해 용량을 아날로그 방식보다 10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퀄컴은 CDMA 기지국, 휴대전화를 제작해 기술 시연을 거쳐 반도체 칩을 개발 및 공급했고, LG전자, 소니, 모토로라 등 단말기 제조사에 통신 칩셋을 공급했다. 1993년 미국의 퀄컴과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CDMA 상용화 계약을 하고, 1995년 디지털 이동통신 표준을 정할 때 CDMA 방식을 단일 표준으로 했다.
국내에서도 네트워크 사업자, 인프라 공급업체, 기기 제조업체 등 생태계가 구축됐다. SKT(한국이동통신)는 이동통신 기술개발 사업관리단을 발족했다. ETRI, 삼성전자, LG전자는 본격적인 상용 시스템 개발을 시작한 지 약 1년여 만에 자체 CDMA 장비 개발에 성공했다. 이후 1995년 정보통신 전시 행사에서 약 10km 구간의 끊김 없는 CDMA 기반 통화 시연을 선보이며 1996년 CDMA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 상용화에 성공했다.
이를 위해 땀흘린 연구진들의 노고로 우리나라는 이동통신 강국이 될 수 있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89년부터 1996년까지 ETRI 연구진은 사내 CDMA 작전본부를 설치했고, 투입된 연구비만 약 996억 원에 달하며, 참여한 연구원도 1,042명에 달했다. 또한 퀄컴은 해당 기술로 AP를 통해 지난 10여년 동안 국내에서만 약 5조원 이상의 수익을 거두기도 했다.
휴대전화 단말기의 가격은 점차 낮아지고 있었다. 국내에서는 1995년 삼성은 초소형, 최경량 디지털폰 SCH-100을 개발했다. 이는 당시 75만원이었다. 또한 모토로라의 첫 CDMA 디지털 단말기는 70만원에 책정됐다. LG정보통신은 1996년 79만원에 세계 최초 CDMA 상용화 후 단말기를 출시했다.
이때부터 대중들은 휴대전화의 품질뿐만 아니라 컬러, 크기 등 디자인도 고려하기 시작했다. 삼성의 SCH-600은 퀄컴의 핵심부품이 부족하고 특정모델이 인기를 끌게 돼 휴대전화 품귀현상을 야기하기도 했다. 또한 1998년 한국 최초 폴더폰인 삼성의 SCH-800은 당시 가장 작은 사이즈로 인기를 끌었다.
■ 멀티미디어 시대 개막
▲CDMA 상용화 공로로 IEEE 마일스톤에 등재된 SKT
SKT, ETRI, 삼성전자, LG전자가 CDMA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 상용화에 성공한 후, SKT는 ‘스피드 011’을 출시했다. 향상된 품질을 기반으로 가입자 수가 크게 증가해 상용화 9개월 만에 전국 인구 대비 커버리지를 78%까지 확대하고 2년 만에 98%를 달성했다. 3년 뒤에는 1999년 이동전화 가입자 수가 1천만명을 돌파했다. 또한 외산 장비 및 단말기를 사용하다가 곧 장비 및 단말기 국산화에도 성공했다.
CDMA가 견인한 이동통신 산업 성장은 기술 진화로 이어졌다. 디지털 세계가 도래하며 사람들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나 다양한 통신 매체에서 빠른 속도를 경험할 수 있게 됐다. FAX, PC, 인터넷, VOD, DVD, MP3 등 통신과 방송이 결합된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도 시작됐다.
이는 3세대(3G) 이동통신 시대의 개막을 의미했다. PC 통신이 활성화되면서 이동전화에서도 전화, 문자 외에 영상, 이미지, 음악, 게임 등 멀티미디어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2000년에 들어서 SKT는 CDMA2000 1X 상용화를 기반으로 2002년 1월 28일 세계 최초로 동기식 IMT-2000(CDMA2000 1X EV-DO) 영상 시험통화에 성공했다. 2002년에는 무선 영상통화, 2006년에는 세계 최초 HSDPA 상용화를 달성했다.
이제 사람들은 최고 2.4Mbps 데이터 전송 속도로 고속 인터넷 검색은 물론 쌍방향 데이터 전송까지 가능한 서비스였다. 동영상, 고해상도 영상통화, 포토 메일 서비스도 본격화됐다. 2004년에는 세계 첫 음악포털 멜론(Melon)이 등장하고, 네이버, 싸이월드 등 각종 포털사이트가 시작되며 사람들은 서로 소통하기 시작했다. 특히 시스템 개발뿐 아니라 국제 표준화에도 적극 참여해 한국에서 발굴한 무선 전송 기술들을 국제표준 기획에 반영하는 등 핵심 원천 기술 확보에도 많은 성과를 이뤄냈다.
3G 기술의 발달은 스마트폰의 보급을 촉진했다. 인터넷에 쉽게 접속할 수 있고, 휴대전화로 카메라를 찍을 수 있는 등의 변화는 획기적인 요소였다. 말그대로 스마트한 세계가 열리며 기술이 가장 급성장한 시기라 해도 무방하다. 이는 모바일 게임, 쇼핑,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데 이르렀다.
다음 편에는 이동통신이 시작된 4G(LTE), 5G와 6G 통신이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