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커넥티비티 클라우드 기업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가 업계 최초 원격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odel Context Protocol; MCP) 서버를 공개하며, AI 에이전트 구축을 위한 워크플로우(Workflows) 기능의 정식 출시(GA)와 듀러블 오브젝트(Durable Objects) 무료 제공을 통해 개발자들이 쉽고 빠르게 AI 에이전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원격 MCP 서버로 AI 에이전트 개발 가속화
글로벌 커넥티비티 클라우드 기업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가 AI 에이전트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능을 발표했다.
클라우드플레어는 업계 최초 원격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odel Context Protocol; MCP) 서버를 공개하며, AI 에이전트 구축을 위한 워크플로우(Workflows) 기능의 정식 출시(GA)와 듀러블 오브젝트(Durable Objects) 무료 제공을 통해 개발자들이 쉽고 빠르게 AI 에이전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14일 밝혔다.
AI 에이전트는 사용자가 직접 개입하지 않아도 자율적으로 작동하며, 의사결정을 내리고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AI 기반 시스템이다. 반면에 기존 AI 에이전트 개발은 높은 비용과 복잡한 구현 과제로 인해 많은 기업이 어려움을 겪어 왔다.
클라우드플레어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 MCP 서버를 통해 AI 에이전트가 외부 서비스와 안전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클라우드 기반으로 실행되어 빠르고 안정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오스제로(Auth0), 스티치(Stytch), 워크OS(WorkOS) 등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AI 에이전트의 보안 인증과 권한 관리를 간소화했다.
클라우드플레어는 AI 에이전트가 지속적인 컨텍스트를 유지하며 더욱 지능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듀러블 오브젝트를 무료 제공한다. 기존에는 유료 플랜에서만 이용 가능했던 이 기능을 이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 개발자의 접근성이 크게 확대됐다.
뿐만 아니라, 정식 출시된 워크플로우 기능을 통해 AI 기반 업무를 더욱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됐다. 워크플로우는 일정 기간 동안 작업을 유지하거나 자동 실행을 지원하여 여행 예약, 금융 분석, 제품 추천 등의 복잡한 업무 흐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기존 클라우드 AI 배포 방식은 사용량을 예측하기 어려워 높은 비용 부담이 발생했다. 이에 비해 클라우드플레어의 서버리스 AI 플랫폼은 사용량이 없을 때 리소스를 0으로 줄이고, 필요할 때는 글로벌 수준으로 즉시 확장할 수 있어 운영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클라우드플레어는 현재 전 세계 190여 개 도시에 GPU를 배치하여 AI가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통해 지연 시간이 최소화된 AI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클라우드플레어의 매튜 프린스 CEO는 “AI 에이전트는 AI 기술의 미래이며, 빠르게 구축하고 대규모로 확장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플레어는 최적의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며 “세계에서 가장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에이전트 기반 AI(agentic AI)의 혁신을 이끌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