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5G SA 표준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장비회사에서 만든 코어 장비와 기지국 장비, 부가장비 등을 연동해 5G 서비스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같은 제조사의 SA 기반 기지국과 코어 장비 연동 시험이 성공한 적은 있었지만, 삼성전자, 에릭슨처럼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비를 연동한 것은 이번이 최초다. 이와 함께 5G 핵심 기술인 네트워크 슬라이싱, MEC 시연에도 성공했다.
다른 제조사 5G SA 장비 연동 성공
모듈화 코어 장비로 네트워크 슬라이싱
위치 따라 지연 최소 유지하는 MEC 구현
5G가 4.5G란 비판에서 벗어나게 될 날이 머지않은 걸까.
▲LG유플러스가 5G SA 표준을 기반 5G 서비스 시연 성공했다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3일, 5G 단독모드(Standalone; SA) 표준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장비회사에서 만든 코어 장비와 기지국 장비, 부가장비 등을 연동해 5G 서비스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같은 제조사의 SA 기반 기지국과 코어 장비 연동 시험이 성공한 적은 있었지만, 삼성전자, 에릭슨처럼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비를 연동한 것은 이번이 최초다.
이와 함께 5G 핵심 기술인 네트워크 슬라이싱, 모바일 에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시연에도 성공했다.
LG유플러스는 컨테이너 기반으로 모듈화된 코어 장비를 통해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구현에 성공했다.
컨테이너(Container) 기술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가상화하는 기술이다. 기능 단위로 소프트웨어를 세부 모듈화하여 조합과 적용을 빨리할 수 있어 많은 제조사가 이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MEC는 코어 장비의 시그널링과 데이터 처리부 중 데이터 처리부만 분리해 고객의 인접 지역으로 분산 배치하는 것으로, 초저지연을 실현하는 핵심 기술이다.
그동안 5G 비단독모드(Non Standalone; NSA) 규격에 기반한 에지 클라우드를 구축한 사례는 있었으나, 고객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트래픽을 처리하는 코어 장비를 변경할 수 없어 지연 시간이 증가하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됐다.
이번에 시연한 MEC는 시그널링과 데이터 처리부를 서로 분리해 데이터 처리부만 고객의 인접 지역에 분산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연 시간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SA 기지국 장비에 도입된 망 접속 지연 시간 단축기술을 적용해 5G NSA 규격 기반의 에지 클라우드 대비, 지연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것도 확인했다.
업로드 속도 향상 기술이 적용된 기지국에서 발생한 트래픽을 인접 코어 장비에서 처리할 수도 있어 초고속 네트워크가 필요한 스마트팩토리 등의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라고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적용된 기지국 망 접속 시간 단축기술은 초기 망 접속 시간을 기존 대비 2~4배 빠르게 향상했다.
5G SA에서 단말의 망 접속을 5G 기지국에서 단독 처리하도록 해 그동안 LTE망을 통해 초기 망 접속이 이뤄지던 NSA에서 소요되던 LTE와 5G 기지국 간 정보 교환에 필요한 시간을 줄였다.
또 NSA에서는 5G와 LTE망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 단말에서 데이터 전송 시 안테나 1개만 사용했으나, 5G SA에서는 안테나 2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업로드 속도를 최대 2배까지 끌어올렸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시연을 통해 검증한 5G SA 기술의 품질을 높여 내년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LG유플러스 박송철 NW개발그룹장은 “5G SA망에서 필요한 기술을 추가로 확보하여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라며, “품질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용화 준비를 철저히 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