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 중 20%가 스마트폰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해 대인관계를 비롯한 건강·일상생활에서 문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전국 1만 가구 만 3세에서 69세 이하 스마트폰·인터넷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 결과 발표
전년 대비 20% ↑·맞벌이 가정 유아동 가장 큰 증가세
우리나라 스마트폰이용자 중 20%가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가장 우선시 여겨 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전국 1만개 가구 만 3세 이상 69세 이하 스마트폰·인터넷 이용자(2만8,592명)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군(고위험군, 잠재적위험군) 비율은 20.0%로 전년 대비 0.9%p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 연도별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현황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령별로 보면 유아동(만 3~9세)의 과의존 위험군이 전년 대비 2.2%p 늘어나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성인(만 20~59세)과 60대의 비율도 해마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2018년 다소 주춤했던 청소년(만 10~19세)의 비율도 2019년에는 증가세로 전환됐다.
유아동과 청소년의 과의존 위험은 부모가 과의존 위험군이거나 맞벌이 가정인 경우 상대적으로 취약한 모습을 보였다.
▲ 연도별·대상별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현황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대한 인식을 묻는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78.7%가 심각하다고 답변했으며 과의존 위험군(83.9%)이 일반사용자군(77.5%)보다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더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의존 해소방안으로는 ▲대체 여가활동(문제 해결주체가 개인인 경우) ▲과다 사용에 대한 안내·경고문(문제 해결주체가 기업인 경우) ▲스마트폰 과의존 해소를 위한 교육(문제 해결주체가 정부인 경우) 등이 각각 1순위로 꼽혔다.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교육 경험율은 18.7%로 전년 대비 0.9p 증가했으며 예방교육 경험자 중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비율도 70.6%로 지난해보다 5.9%p 늘어났다.
▲ 우리 사회의 스마트폰 과의존 심각성 인식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기정통부는 스마트폰을 바르게 사용하는 습관을 조기에 형성하도록 유아동 대상 체험형 예방교육을 확대할 예정이며 관계부처와 협력해 디지털 역기능 예방·해소서비스를 통합 안내할 수 있는 누리집을 올해 안으로 구축·운영할 계획이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스마트폰 등 각종 디지털 기기에 노출되는 빈도가 점점 커지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 우리 스스로 의존율을 성찰해 볼 필요가 있다”며 “생애주기별 맞춤형 예방교육, 과의존 예방 콘텐츠 개발, 민·관 협력 인식 제고 활동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조사는 대상자의 상태를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로 점수화해 연령대별 기준 점수에 따라 고위험군, 잠재적위험군, 일반사용자군으로 분류했으며 고위험군은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해 대인관계·건강·일상생활에 심각한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를, 잠재적위험군은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조절력이 약화돼 대인관계·건강·일상생활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 경우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