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와 이통3사가 읍면 등 농어촌 지역에 5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을 발표했다. 이통3사는 올 상반기 중 공동망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통신장애 예방을 위해 네트워크 장비 IP 재설정에 들어간다. 이후 시범 결과를 기반으로 망 안정화 작업에 착수해 2024년 상반기까지 공동이용망 상용화를 완료할 계획이다.
이통3사, 농어촌 5G 공동이용망 구축한다
올해 상반기 중에 공동망 관리시스템 개발
2024년 상반기까지 상용화 완료 계획 세워
국내 5G 스마트폰 사용자의 5G 연결 비중이 15%대에 머물면서 불만이 고조되는 가운데, 5G 전국망 구축은 빨라도 2024년까지 기다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연도별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 [그림=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15일, 읍·면 등 농어촌 지역에 5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을 발표했다. 이통3사는 농어촌 지역망 공동이용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획은 지난해 7월, 이통3사 CEO 간담회에서 의견이 제기된 것으로, 과기정통부가 지난해 9월부터 운영한 ‘농어촌 5G 공동이용 T/F’에서 기술 방식, 대상 지역, 서비스 제공 시기 등을 6개월 이상 논의하고 당정 협의를 거쳐 마련했다.
▲ 각사 구축 지역과 공동이용 지역 인구 비중 비교
[그림=행정안전부]
대상 지역은 131개 시·군에 소재한 읍·면이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15%가 거주하고, 1㎢당 인구수가 약 92명인 곳으로, 이통3사가 각자 기지국을 구축하는 지역(전체 인구의 약 85%, 1㎢당 인구 약 3,490명)에 비해 인구 밀도가 낮다. 공동이용 서비스는 해외 입국자나 알뜰폰(MVNO) 가입자도 받을 수 있다.
지역별 망 구축 분배는 지역별 설비 구축 수량, 트래픽 등을 고려해 △SKT는 경기도 일부, 경상남도 일부, 세종특별자치시, 인천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일부를, △KT는 강원도 일부, 경기도 일부, 경상남도 일부, 경상북도, 충청북도 일부를, △LGU+는 강원도 일부,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를 맡는다.
▲ MOCN 방식에 따른 5G 서비스 이용 시나리오
[그림=과기정통부]
이통3사는 기지국만 공동이용하는 MOCN(Mutli Operator Core Network) 방식을 채택했다. 망 설계 과정에서 공동이용 지역 내에서는 공통 품질 기준을 적용하고, 터널 등 지형 특성에 따라 맞춤형 5G 장비를 설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이통3사는 올 상반기 중 공동망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통신장애 예방을 위해 네트워크 장비 IP 재설정에 들어간다. 이후 시범 결과를 기반으로 망 안정화 작업에 착수해 2024년 상반기까지 상용화를 완료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