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 멀미 현상은 VR 실용화 및 서비스 확산의 발목을 잡아왔다. ETRI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VR 멀미 정도를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VR 휴먼팩터 기반 VR 멀미 분석 및 모니터링 도구는 사용자로부터 생체신호 정보를 얻어 AI로 VR 멀미를 예측하는 학습 엔진 소프트웨어다.
VR 멀미, VR 기술 확산 막는 주요 요인
ETRI, VR 멀미 분석 및 모니터링 도구 개발
사용자 생체신호 토대로 AI 기반 VR 멀미 예측
가상현실(VR) 콘텐츠를 즐길 때 나타나는 멀미를 AI로 분석하고 감쇄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6일, AI 기술을 기반으로 VR 멀미 정도를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 ETRI 연구진이 VR 멀미 정량 분석 기술을 이용해
멀미가 저감된 콘텐츠를 체험하고 있다 [사진=ETRI]
VR 기술이 교육, 산업,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VR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등을 장시간 착용하면 사용자에 따라 멀미나 구토, 어지러움 현상이 나타나 실용화 및 서비스 확산이 지지부진했다.
하지만 멀미 발생과 관련 있는 요인들이 많아 명확한 원인과 해결책을 찾기 어려웠다. 멀미 발생 요인들 간 정량적인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체계적인 분석을 진행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ETRI는 사용자 500명 이상으로부터 실험 데이터를 얻어 머신러닝을 적용하여 VR 요소들과 VR 멀미 간 상관성을 도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VR 휴먼팩터 기반 VR 멀미 분석 및 모니터링 도구’는 사용자로부터 생체신호 정보를 얻어 AI로 VR 멀미를 예측하는 학습 엔진 소프트웨어다.
개인별 VR 멀미 유발 유형을 바이오마커 패턴 관찰로 분석하는 이 기술은 개인 휴대형 생체신호 장비와 연동되어 심리 및 정신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헬스케어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현재 메딕션의 VR 기반 알코올 중독 치료기 ‘메딕션-S’에 탑재되어 의료기기 허가 및 심사를 추진 중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또 다른 기술인 ‘VR 멀미 저감용 콘텐츠 저작 도구’를 활용하면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VR 멀미 유발 요소의 실시간 조절이 가능하다. 레벨 1~5까지 정량적인 지표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콘텐츠를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게임 개발 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용 게임엔진 프로그램과도 쉽게 호환된다.
ETRI 기술을 적용한 상용 VR 게임도 출시됐다. 드래곤플라이의 ‘스페셜포스 VR 인베이전’은 연구진의 VR 멀미 저감용 콘텐츠 저작 도구를 적용해 게임 플레이상 멀미를 저감하고 2019년부터 국내외 시장에 서비스 중이다.
연구진은 체감형 VR 장치에서 VR 멀미도를 분석하고 저감하는 ‘VR 휴먼팩터 기반 모션데이터 편집 도구’도 개발했다. VR 영상과 사용자 행동 간 정보량 차이를 엔트로피로 해석, 활용하면서 콘텐츠를 자동 조정하거나 편집하면서 멀미를 저감할 수 있다. 주로 탑승형 체감 놀이기구에 적용되거나 VR 멀미 및 안전성 분석에 활용될 예정이다.
한편, IEEE SA(Standards Association) 산하 워킹그룹에 에디터로 참여하고 있는 ETRI는 VR 기술 관련 국제표준안을 제출하여 현재 최종 승인을 받은 상태다. 이는 내년 초 공표될 예정이다. ETRI는 VR 멀미 임상실험 데이터베이스를 IEEE를 통해 국제적으로 공개하고, VR 멀미 예측 모듈도 한국가상증강현실산업협회(KoVRA)를 통해 실행파일 형태로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