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워크 플랫폼·번역웹, 앱·실감콘텐츠 개발
기록문화유산 대국민화 앞장…인식정확도 92%
국내 연구진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한문으로 된 고서를 번역하는 전문가의 번역 작업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기록문화유산이 국민 곁에 한 발짝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전문 번역가의 고서 번역 작업을 도와주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의 기술은 향후 번역가가 고서를 번역하는데 시간 절약은 물론, 지원 도구로서 큰 효과가 예상된다.
한문 고서 번역전문가들은 고서 원문을 일일이 입력하여 글자로 옮기고 확인한 후 여러 차례 한글로 변경하는 등 힘든 작업을 통해 비로소 한 권의 번역서를 완성한다.
▲ETRI 민기현 선임연구원(왼쪽)과 한국고전번역원 권경열 책임연구원(오른쪽)이 AI기반 고서번역 기술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ETRI는 고서 번역 전문가들의 업무 개선을 위해 92%의 인식 정확도, 85점의 번역 정확도를 갖는 고서 한자인식 및 번역 기술을 개발중이라고 밝혔다.
연구진이 개발한 ‘스마트워크 플랫폼’의 주요 기능으로는 △정본화를 위한 이본 대조 지원기능 △문자인식 검수지원 기능 △어휘사전 △번역 패턴/특수 용어 공유기능 등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번역가들이 개방형 공동번역과 해석작업이 가능토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연구진은 번역가들에게 스마트 업무 환경 기반을 마련하고 고서 번역 전문가들의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약 3만 종의 고서와 수십만 점의 고문서들의 번역을 빠르게 앞당길 예정이다.
이로써 소중하고 자랑스러운 우리나라 기록문화유산에 대한 대국민 접근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ETRI는 또한 일반인들도 쉽게 한문고서 한자 인식 및 번역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도 제공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고서 한자 인식/번역 서비스를 개발, 일반인들이 손쉽게 고서번역을 체험할 수 있는 모바일웹(Web)과 앱(App)을 연말까지 제공한다.
연구진은 9월부터 국회도서관, 대전광역시 한밭도서관, 제주특별자치도 한라도서관, 광주광역시립무등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 전국 11개 도서관과 문화원에 키오스크를 설치해 일반 국민 대상 한자인식 및 번역 실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의 한문고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도서관에 소장된 고서와 함께 개인소장 고서에 대한 기록 문화유산 저변 확대와 활용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ETRI 연구진은 또한, 번역된 고서를 활용한 실감형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개발한다.
번역된 고서의 스토리를 기반으로 미디어아트와 모션센서를 통해 상호작용하면서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를 통해 고서에 대한 일반인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TRI 강현서 호남권연구센터장은 “번역 전문가의 작업환경이 그동안 노동집약적 업무로 과중했는데 디지털 전환을 통해 간소화하고 한자를 모르는 일반인들도 고서를 쉽게 접해 우리나라 문화기록유산인 고서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국고전번역원 권경열 고전문헌번역실 책임연구원도 “그동안 번역 전문가들이 번역 이전 단계의 공정을 처리하는데 많은 애로를 겪어왔는데, 이번 기술 개발이 획기적으로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구진 향후 개발중인 스마트워크 플랫폼의 기술완성도를 실증을 통해 더욱 높이고 일반인도 우리나라 기록문화유산에 많은 관심을 두도록 편의성과 접근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연구를 통해 개발된 스마트워크 플랫폼과 실감형 인터랙티브 콘텐츠는 향후 설립될 전라유학진흥원의 핵심적인 요소로 활용될 예정이며, 전라북도의 연구지원을 받아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ETRI는 본 기술의 특허출원을 완료했고, 학회 논문발표를 통해 우수논문상을 받았으며 향후 기술이전하여 상용화할 계획이다.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연구개발 지원사업으로 ‘인공지능 기반 개방형 한문 고서 번역 및 해석 지원 기술 개발’과제를 통해 연구중이다.
한국고전번역원, 전주대학교, ㈜에이비씨, (재)전라북도콘텐츠융합진흥권과 공동연구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