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2.08by 이수민 기자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이 오는 3월 17일부터 21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새너제이에서 열리는 제 10회 GTC의 기조 연설자로 나선다. AI,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컴퓨팅, 헬스케어, 금융, 통신, 자율주행차량, 로봇, IoT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된 800명 이상의 발표자와 200여 전시업체가 참석하는 이번 행사에는 최대 1만여 명의 개발자와 데이터 과학자, 업계 관계자들이 등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9.01.16by 이수민 기자
시스코는 2017-2022 시스코 비주얼 네트워킹 인덱스 보고서를 통해 폭발적인 인터넷 트래픽 성장 전망치를 발표했다. VNI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오는 2022년까지 5년간 발생할 IP 트래픽이 인터넷 네트워킹이 시작된 이래 2016년 말까지 누적된 IP 트래픽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22년까지 세계적으로 285억 개 이상의 기기와 네트워크 연결이 온라인화 돼 전 세계 인구의 60%가 인터넷을 사용, 이 중 동영상 트래픽 비중이 전체 IP 트래픽의 82%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른 것이다.
2018.12.12by 이수민 기자
LG유플러스는 가상화 기반 5G 장비의 효율적 관리와 신속한 확장을 가능하게 해주는 5G SDN 스위치를 개발하고 5G 상용망에 적용했다. 5G SDN 스위치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하나의 컨트롤러에서 여러 대 장비의 네트워크 구성을 한꺼번에 설정하고 변경하는 등 통합제어와 체계적인 운영 및 관리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가상화 기반으로 운영되는 5G 장비의 효율적인 관리는 물론 급변하는 고객 요구에 맞춰 새로운 5G 서비스를 신속하게 개발하고, 더욱 빠르게 업그레이드해 제공할 수 있게 됐다.
2018.11.15by 이수민 기자
시스코는 보안 및 소프트웨어 정의 WAN 네트워크(SD-WAN) 기술을 통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고 확실히 수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에 발생할 위협에 대비할 충분한 유연성을 갖추도록 설계된 시스코 SD-WAN은 보안과 SD-WAN 기술을 결합했다.
KT가 삼성전자, 시스코와 함께 CUPS 기술을 적용한 5G NSA 코어 장비를 개발하여 상용망에 구축을 완료했다. CUPS 기술은 3GPP 국제 표준에서 정의하는 기술로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와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를 분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는 표준 기술이다. 이는 향후 SA 기반의 5G 상용 네트워크에는 필수적인 CUPS 기술을 NSA 단계부터 적용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2018.10.15by 이수민 기자
시스코가 AI와 머신 러닝에 맞춤 설계된 신규 AI 서버를 공개했다. 신규 시스코 AI 서버는 딥러닝 속도 향상 및 머신러닝 소프트웨어 가속화를 지원해 최근 증가하고 있는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기업의 역량 강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서버는 올 4분기 시스코 파트너들을 통해 출시될 예정이다.
2018.07.27by 이수민 기자
시스코 탈로스과 삼성과 협력하여 '삼성 스마트싱스(SmartThings) 허브'의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는 펌웨어를 배포했다.
2018.05.24by 김지혜 기자
시스코 코리아는 해커톤 행사 ‘시스코 핵캠프(HackCamp) 2018’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시스코는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생태계 육성을 위해 주요 사업 분야인 콜라보레이션(협업)·보안·데이터센터·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영역의 개발자 커뮤니티 ‘데브넷(DevNet)’을 창설해 △시스코 오픈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교육 △멘토링 △해커톤 등의 지원 프로그램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2018.03.08by 김학준 기자
한국테라데이타는 스마트시티 및 커뮤니티를 위한 디지털 변환 솔루션을 위해 시스코와 협업한다고 밝혔다. 시스코의 IoT 플랫폼인 시스코 키네틱 포 시티와 테라데이타 애널리틱스 플랫폼의 특징을 기반으로 한 솔루션은 통합 데이터 교환을 위해 도시 간 연결성을 높이도록 지원한다. 시스코 키네틱 포 시티 플랫폼은 도시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안전하게 수집, 통합, 표준화하기에 적합하다. 테라데이타는 이 플랫폼과의 통합을 실행한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분석 기업 중 하나로 도시와 커뮤니티에 비즈니스 통찰력을 제공하는 분석, 지속적인 데이터 수명 주기 관리 및 보강 등 데이터 관리를 제공한다. 이 두 업체는 도시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공 안전을 강화하며 시민 서비스 제공 및 새로운 수익원 창출에 필요한 도구를 제..
2017.10.25by 김지혜 기자
시스코 코리아는 인피니트 브로드밴드(Infinite Broadband) 리모트 PHY 솔루션(RPHY)의 새로운 버전을 공개하고 본격적으로 케이블 사업자 네트워크 자동화 지원에 나섰다. 시스코는 자동화와 가상화를 통해 케이블 네트워크 용량 증설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케이블 사업자는 모든 디바이스에 광대역 케이블 및 비디오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케이블 액세스 네트워크를 위한 시스코 인피니트 브로드밴드 리모트 PHY 솔루션은 시장에 출시된 업계 유일의 표준 기반 DAA(Distributed Access Architecture)이다. 리모트 PHY는 물리적인 PHY 회로 계층을, 컨버지드 케이블 액세스 플랫폼(CCAP)과 같은 헤드엔드 디바이스에서 분리해 네트워크 에지(RPHY..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