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9by 이수민 기자
AC 인덕션 모터에서 BLDC 모터로의 전환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이제 차세대 기기의 개발은 더욱 빠른 모터 응답 속도와 설계 시간 단축이 핵심이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9일, 모터 구동 소프트웨어가 불필요한 사다리꼴 제어 및 자속기준 제어(FOC)를 사용한 70W BLDC 모터 드라이버 제품 2종을 발표했다.
2021.09.06by 강정규 기자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은 시장 출시 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사전 테스트를 거친 산업용 레퍼런스 디자인을 출시했다. 이 디자인은 22kW의 정격 전력을 제공하고 380~480V 3상 그리드에서 직접 동작할 수 있는 범용 모터 드라이브다. 펌프, 팬, 컴프레서 및 컨베이어 벨트 등에 적합한 레퍼런스 디자인은 완전히 재사용할 수 있으며, 실제 동작 조건에서 인피니언 제품을 평가할 수 있다.
2021.08.04by 이수민 기자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EOCR)는 모터의 과전류, 결상, 지락 등의 이상으로부터 설비를 보호하는 장비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디지털 기능을 강화하고, 새롭게 개정된 한국 전기설비기술기준(KEC)에 맞춰 신기능을 탑재한 신제품, ‘EOCR-iSEMMETS’와 ‘EOCR PFZ/PMZ’, 그리고 ‘EOCR FMZ2’ 모델을 보급 중이라 밝혔다.
2021.07.30by 강정규 기자
도시바 일렉트로닉 디바이스 앤 스토리지 코퍼레이션이 TXZ+ 계열 어드밴스드 클래스 첫 제품으로 M4K 그룹 모터 제어용 MCU 12종의 생산에 들어갔다. 8월, 도시바는 M4M 그룹의 10개 제품을 추가 생산할 예정이다. M4K 및 M4M 그룹은 모두 40nm 공정으로 제조되며, TXZ4A+ 시리즈에 속한다.
2021.07.06by 이수민 기자
IAR 시스템즈가 자사의 Arm용 임베디드 워크벤치 개발 툴 체인에 NXP의 i.MX RT1160 MCU 지원 기능이 추가됐다고 밝혔다. NXP의 최신 i.MX RT1160 크로스오버 MCU는 산업용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모터 제어, 가전, 오디오 기기 등 여러 분야의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한다.
2021.07.02by 이수민 기자
최근 산업기기, 기지국용 모터에 사용되는 24V 입력에 대응해, MOSFET에 전압 변동 마진을 고려한 40, 60V 내압이 요구된다. 또한, 모터 효율 상승과 소형화를 위해, 낮은 온저항, 고속 스위칭 동작에 대한 기대가 크다. 이에 로옴은 24V 입력 대응 Nch+Pch MOSFET, QH8Mx5 및 SH8Mx5 시리즈를 개발했다.
2021.06.21by 이수민 기자
LS일렉트릭 G100 시리즈는 인버터 시장 확대를 위해 범용 제품으로 개발됐다. 산업별 특성에 맞춰 조율하거나, 소형 설계로 추가 공간 확보에 따른 비용 발생을 최소화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또한 운전 속도 전 영역에서 높은 토크 출력이 가능하여 인버터가 주로 사용되던 팬, 펌프뿐만 아니라 물류시스템, 섬유 설비, 공작기계, 호이스트 등에도 적용이 쉽다.
2021.06.18by 이수민 기자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자기기 제작사는 SiC, GaN 등 고효율 소재로 만들어진 소자를 자사 제품에 탑재하거나, 상황에 따라 유연한 대처가 가능한 인버터 등 새로운 회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인피니언 코리아 김창호 부장에게 인버터 설계를 가속하기 위해서 인피니언이 제공하는 솔루션과 지원책에 관해 물었다.
많은 공정 플랜트와 건물들은 서비스 담당자가 로컬에서 수동으로 계속해서 작업에 관여해야 한다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ADI는 장거리 이더넷 연결을 제공하고, 실시간 설정, 적은 에너지 소비, 더 많은 자산 활용을 가능케 하는 ADIN1100 MAC PHY 및 PHY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2021.06.03by 이수민 기자
모터는 전기차에서 동력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곳에 응용되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차량용 모터의 누적 생산 개수는 약 35억 개에 달했다. 연간 수요 증가율은 향후 5년간 평균 4%를 유지할 전망이다. 특히 중·소전력 차량용 모터는 차량의 안정성과 편의성 향상을 위해 활발하게 채택되고 있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