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터치만으로 홀로그램 바꾼다 전기, 온도, 터치에 반응하는 액정 결합 투명망토, 슈퍼렌즈, 음굴절 장치 등 광학기능 구현 한국연구재단은 11일, 포항공대 노준석·김영기 교수 연구팀이 메타물질에 액정기술을 접목해 외부자극에 반응하는 초소형 ..
2020.11.11by 김동우 기자
양자 포토닉스 연구소 출범식 개최 양자현상 이용 차세대 소자 개발·상용화 목표 UNIST는 29일, 대학본부 2층 대강당에서 ‘양자 포토닉스 연구소(Quantum Photonics Institute, QPI) 개소식’을 개최..
2020.10.29by 강정규 기자
그래핀·질화붕소 경계에서 청색 발광 최초 발견 전자가 경계면 집중되어 새로운 에너지 준위 생성 유연한 소재인 ‘그래핀’, ‘육방정계 질화붕소’ 접히거나 굽혀지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제작 가능 UNIST..
2020.10.27by 김동우 기자
10/26부터 11/13까지 소규모 시연 폼랩 3D 프린터 경험 및 출력물 확인 참가 희망자 사전 예약 통해 신청 접수 엘코퍼레이션은 22일, 3D 프린터 업체 ‘폼랩(Formlabs)’의 최신 3D 프린터를 소비자들이 직접 체험할 기..
2020.10.22by 강정규 기자
국가 소재 연구 데이터 센터 운영 구축 추진 신소재 R&D 데이터 420만 건 조기 확보 탐색·설계, 공정개발, 측정·분석 서비스 지원 데이터와 AI를 소재 연구에 접목하여 실험과 이론에 의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신소재 개..
2020.10.15by 이수민 기자
페라이트 기반 전력 모듈 탑재한 OLED TV 일반 전력 모듈 탑재 제품보다 60% 얇아 부피와 무게 10% 적고 온도 20% 낮아 초소형 고성능 전자부품 수요가 늘면서 페라이트가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페라이트는 산화철이 주원료인 자성(磁性) 소재..
2020.10.14by 이수민 기자
마이크로파 흡수 소재 열용량 낮은 ‘그래핀’ 사용 '조셉슨 접합 구조' 도입해 전기 저항 빠른 측정 차세대 양자정보기술에 활용 기대 이길호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팀이 마이크로파 세기를 기존 대비 약 10억 배 향상된 민감도..
2020.10.05by 김동우 기자
탄소섬유 케이블, 일반 케이블보다 20% 가벼워 LS전선, 탄소섬유 LAN 케이블 양산 준비 마쳐 탄소섬유는 무게가 강철의 1/4에 불과하나 강도는 10배, 탄성은 7배에 달한다. 탄소섬유를 사용하면 케이블의 무게가 10~20% 이상 가벼워지고, 유연성과 내..
2020.09.24by 강정규 기자
유기물 강유전체 박막에 물 첨가해 실리콘 태양전지 후면 분리막 효율 높여 물을 이용해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전지 효율을 올리는 기술이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과 최경진 교수팀은 16일, 실리콘 태양전지의 후면 분리..
2020.09.17by 명세환 기자
KAIST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 연구팀 전도성 패브릭과 압전 고분자 필름 결합한 웨어러블 에너지 하베스터 제조 방법 개발 오늘날 웨어러블 소자는 센서, 원동기, 디스플레이, 에너지 하베스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소형에..
2020.09.11by 이수민 기자
(주)채널5코리아 |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A동 1824호 | 사업자등록번호 : 113-86-36448 | 대표자 : 명세환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은성 | 발행인, 편집인 : 명세환 | 전화 : 02-866-9957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 01366 | 등록일 : 2010년 10월 40일 | 제보메일 : news@e4d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e4ds뉴스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2025 e4ds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