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피니언_8월_전력없는 AI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ADI
아나로그디바이스
image

ADI, 소형 회로 사이즈에 적합한 동기식 DC/DC 컨트롤러 출시

대기 전류 낮게 유지하므로 올웨이즈온 시스템에 이상적 아나로그 디바이스는 소형 회로 사이즈 및 높은 전력 밀도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최대 2.25MHz에서 동작이 가능한 동기식 스텝다운 DC/DC 컨트롤러 LTC7800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

2017.06.01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5G 다대역 무선 통신 기지국에 적합한 고속 DAC 발표

28나노미터 CMOS 기술 바탕으로 기가헤르츠 대역 충족 아나로그디바이스 (ADI)는 고속 DAC제품군에 신규 추가될 28나노미터(nm) DAC를 발표했다. AD9172는 기가헤르츠 대역 어플리케이션의 요건을 충족하는 동시에, 4G/5G 다대역 무선 통신..

2017.05.31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산업용 모니터링 전용 MEMS 가속도계 출시

베어링 결함이나 일반적인 원인 초기 감지 현재 사용되는 PZT 기술 수준 아나로그디바이스 (ADI)는 산업용 상태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전용으로 설계된 고주파, 저잡음 MEMS 가속도계 2종을 출시했다. ADXL1001과 ADXL1002 MEMS 가속도계는..

2017.05.25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LO버퍼 통합한 초광대역 더블 밸런스 믹서 발표

초소형 3mm x 2mm 패키지로 23.9dBm IIP3 제공 리니어 테크놀로지를 인수한 아나로그 디바이스는 3GHz ~ 20GHz의 업계 최고 매칭 대역폭 기능을 제공하는 더블 밸런스 믹서인 LTC5553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믹서는 업 또는 다운컨버터..

2017.05.24by 신윤오 기자

image

ADI, 높은 전력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위한 컨트롤러 개발

표준 IEEE802.3bt에 따라 전력 예산 늘리고 기존 장비와 역호환성 갖춰 아나로그 디바이스는 최대 71W의 공급 전력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LT4294 IEEE 802.3bt PD(Powered Device)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2017.05.23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실시간 산업용 이더넷 프로토콜 POWERLINK 추가

산업용 이더넷을 빠르고 적은 지용으로 플랫폼에 추가 가능 프로토콜 및 트래픽 관리 개발 위험성 줄여 아나로그디바이스는 자사의 ‘확정적 이더넷 기술 그룹’ 부문(Deterministic Ethernet Technology Group, 인수 전..

2017.05.17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본질 안전 인증 받은 디지털 절연기 출시

위험 지역에서 전기 장비 설계 시 적합 적은양의 에너지로 절연 구현 가능   아나로그디바이스는 IEC 60079-11:2011 표준을 준수하며 업계 최초로 본질 안전(intrinsically safe, IS)을 인증 받은 디지털 절연기를 출시했다. &nb..

2017.05.11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65V 입력 지원하는 스텝다운 레귤레이터 출시

대기전류 소비량 적어 동작 수명 긴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EMI/EMC 방출 줄여 설계 간소화 시켜 아나로그디바이스는 8A, 65V 입력을 지원하는 동기식 스텝다운 스위칭 레귤레이터 신제품 LT8645S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제품에 적용된 사일..

2017.04.26by 김지혜 기자

image

ADI, IoT 에지 노드에서 전력 소비 최소화하는 MCU출시

로컬 위치에서 결정으로 중요 데이터만 클라우드 전송 구현 RF 기술로 데이터 수집하는 동안 저전력 상태 유지   아나로그디바이스는 사물인터넷 (IoT) 에지 노드에서 시스템 전력 소비는 최소화하면서 첨단 알고리즘을 탑재하고자 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초..

2017.04.25by 김지혜 기자

image

[인터뷰] 폭증하는 데이터 트래픽, 5G시대 고속 컨버터가 필요한 이유는

늘어나는 모바일 데이터 요구 충족하려면 무선 백홀 기지국 필요 빠른 디지털 신호 변환을 위한 ADC, DAC 중요 KT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5G 시범서비스를 시작하고 조기 상용화를 하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가적으로도 5G 시장을 선점..

2017.04.21by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