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6.09by 이수민 기자
KETI와 켐트로닉스가 V2X 기술 및 무선 충전 분야 핵심 소재 기술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측은 각자가 보유한 고유 기술과 인프라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을 위한 실증 환경을 구축하여 자율협력주행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며, 모바일용 무선 충전 소재 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모델을 발굴할 계획이다.
2021.06.03by 이수민 기자
글로벌 반도체 수급 불안정 지속으로 반도체에 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거운 상황이다. 세미나허브는 오는 7월 1일(목),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2021년 반도체 산업 핵심 이슈 및 대응전략 세미나를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한다.
2021.04.29by 이수민 기자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첨단 언어처리 모델, KE-T5를 공개했다. KE-T5는 구글의 언어모델 알고리즘인 T5를 기반으로 구축한, 한국어와 영어처리에 모두 활용 가능한 자기 지도 학습 방식의 이중 언어처리 모델이다
2020.12.08by 명세환 기자
KETI가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용 HUD 기술의 실감성을 높인 AR HUD 기술을 개발했다.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한 AR HUD 기술은 HOE 필름을 이용하여, 차량 전면 유리창을 통해 도로나 주변 지형지물에 영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실감성 높은 광시야각 HU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2020.11.27by 이수민 기자
제조업계에선 날로 복잡해져 가는 공장 설비와 숙련된 작업자의 부족 등으로 인해 디지털 트윈 기반 확장현실(XR)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KETI와 RIST는 기업의 생산성 및 작업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개발 중인 디지털 트윈 기반 XR 기술을 RIST 내 포스코케미칼 이차전지 소재 시범 제조 공장에 적용하여 솔루션 시연 및 실증 테스트에 착수했다.
2020.09.03by 명세환 기자
KETI와 시흥시가 전기차 제조 데이터 센터 구축과 운영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전기차 운행 중에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와 부품 데이터를 융합하여 전기차 부품의 생산, 관리, 운행 등에 활용 가능한 빅데이터 플랫폼을 올해부터 2023년까지 약 4년에 걸쳐 구축할 계획이다.
2020.06.08by 이수민 기자
KETI가 전극 물질과 섬유 소재를 일체화한 새로운 전극 구조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Sn@Ni 섬유 전극은 PET 고분자 직물과 전도성 금속인 니켈층을 일체화시킴으로써 기계적 변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했다.
2020.05.12by 이수민 기자
KETI가 15일, 제38회 KETI와 함께 디지털 기술혁신 매치메이킹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최근 비대면 필요성의 증가에 따라 공공 연구기관에서 최초로 시도하는 온라인 기술이전 설명회로, KETI가 2019년에 출원한 전략 특허 기술을 중심으로 마련되었다.
2020.04.24by 이수민 기자
AI 반도체 기술력 확보를 위해 과기정통부가 2020년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AI 반도체 설계 분야 신규과제 수행기관 28곳을 선정했다. SK텔레콤, 텔레칩스, 넥스트칩은 각각 서버, 모바일, 에지 분야 컨소시엄 총괄기관으로 참여하여 분야별 개발 결과물을 통합한 SoC 제작 및 실증 등의 역할을 할 예정이다.
2020.02.26by 이수민 기자
전자부품연구원(KETI)이 한영넉스와 차세대 스마트팩토리용 센서 및 제어기 부문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KETI와 한영넉스는 이번 협약을 통해, 차세대 스마트팩토리용 센서 및 제어기 분야의 공동 사업 발굴 및 기획, 공동 연구협력, 인력 교류 등에서 상호 노력하기로 했다.
E4DS의 발빠른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장은성 070-4699-5321 , news@e4ds.com
아직 회원이 아니신가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