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mage

직물에 그래핀 입혀 구부러지는 센서 개발한다

직물에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 섞은 용액을 입혀 센서로 활용 여러 번 구부리거나 눌러도 방수가 되고 높은 전도성을 갖는 센서가 개발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면섬유와 같은 직물을 그래핀 및 탄소나노튜브를 섞은 용액에 담갔다 빼고 건조공정을..

2018.03.02by 김지혜 기자

image

임시 LTE망 반경 수백m에서 배낭형태 기지국 상용화 가능성 열려

LTE-TDD, 상향과 하향의 비율 시간으로 나눠 사용 가능한 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건물이나 운동경기장에서 활용이 가능한 진보된 소형셀 기지국 SW 기술을 개발,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지난 2016년 LTE 소형셀 기지국 SW개발 ..

2018.02.13by 김지혜 기자

image

ETRI, 내부보안성 강화 위한 단방향 데이터 전송 기술 개발

현대중공업 발전플랜트 제어시스템 데이터 수집 서버 구간에 첫 적용 예정   국내 연구진이 발전소와 같은 국가 주요기반시설의 제어시스템 내부보안성 강화를 위한 단방향 데이터 전송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진테크이엔..

2018.01.30by 김지혜 기자

image

ETRI, 국내 모바일 트래픽 현황 발표

향후 6년간 국내 이동통신 트래픽 10배 이상 급증 2023년 말에는 3.2 엑사바이트에 이를 것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이동통신 시장 성장을 대표하는 지표로 모바일 트래픽 현황을 발표했다.  본 내용에는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트래픽 추세..

2018.01.25by 김지혜 기자

image

기가와이파이, 이제 서울 지하철에서도 된다

통신수준 향상사업 위한 기술 BMT 성공 기술검증 완료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지하철에서 1Gbps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모바일 핫스팟 네트워크(MHN)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달리는 지하처러 내에서 초고속 모바일 인터넷 ..

2018.01.05by 김지혜 기자

image

ETRI, 생체 내에서 부식없는 유연 신경전극 개발

뇌와 연결, 생체 삽입 웨어러블 센서 활용 가능 생체 내에서도 부식이 되지 않고, 장기간 신경 신호를 측정하고 세포에 효율적으로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는 유연한 신경 전극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화학적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

2017.12.22by 김지혜 기자

image

ETRI, 천리안 위성 통신탑재체 세계적 수준

Ka대역 강우감쇠 적응형 모뎀으로 해결 안정성 높여 통신위성 독자개발능력 입증, 시장전망 밝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천리안 위성 내 두뇌에 해당하는 통신탑재체를 개발하고 위성관제 등을 통해 성능면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적 우수함을 검증했다고 밝혔다. ..

2017.12.14by 김지혜 기자

image

ETRI, NB-IoT로 스마트팩토리 만든다

NB IoT(협대역 사물인터넷) 기술, 무선 공장자동화에 본격 적용 국내 연구진이 스마트팩토리에 이동통신기술을 적용하는데 성공함에 따라 향후, 공장을 무선으로 원격제어 하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국내 최초로 이동통신 ..

2017.12.06by 김지혜 기자

image

ETRI, 빅데이터 유통 활성화 위한 국제 표준 승인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 2건의 제안 채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지난달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표준화 회의에서 빅데이터의 유통 활성화를 위한 국제표준을 승인받았다. 또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 2건의 신규아..

2017.11.30by 김지혜 기자

image

ETRI, AI와 빅데이터 더해 국토 계획 수립 돕는다

인구, 경제 변화에 따른 미래 주거변화 분석 연구원이 가진 인공지능 기술을 국토계획 정책 수립하는데 활용할 예정이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본원에서 국토연구원과‘주택·도시건설 분야의 미래분석 및 예측기술 교류’업무협..

2017.11.03by 김지혜 기자

31 32 33